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글로벌 AI 지수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Tortoise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9-12-31
- 등록일 2020-02-28
- 권호 161
□ 영국 Tortoise에서는 전 세계 인공지능 투자, 혁신, 실행수준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AI 지수*’를 발표
* The Global AI Index
○ 54개국의 인공지능 기술개발 현황을 투자, 혁신, 실행의 3가지 분류 내 7대 하위 분야, 100개의 세부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
○ 글로벌 AI 지수 상위 10개 국가는 다음과 같음
- 1위: 미국(100), 2위: 중국(58.3), 3위: 영국(43.7), 4위: 캐나다(37), 5위: 독일(35.3), 6위: 프랑스(34.1), 7위: 싱가폴(33.3), 8위: 대한민국(31.7), 9위: 일본(30.4), 10위: 아일랜드(30.4)
○ (영국) AI 지수는 세계 3위로, 최우수 인공지능 기업을 보유하고 있으며, 우수한 인력 및 학문적 명성이 높음
※글로벌 AI 기업 점유율 : 미국(40%), 영국(9%), 중국(4%)
- Alan Turing 연구소, Sherffield 대학 등 인공지능 연구와 관련한 유수의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음(1,100개 이상의 논문 출판)
- 영국의 인공지능기업 딥마이드는 인체질환 진단 및 방사선 치료법 알고리즘 개발 등 보건 분야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음
- 반면, 비효율적인 특허 등록절차, 인재유출, 브렉시트 등으로 경쟁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존재
※ AI 특허 승인 비율이 5%로 미국 33%에 비해 매우 저조하며, 특허 등록 소요기간이 평균 1330일로 글로벌 평균 905일에 비해 현저히 느린 편임
○ (미국) 트럼프 정부는 ‘인공지능 이니셔티브(’19)’ 발표, 연구의 질, 인력 수준 등에서 1위를 차지하며 AI 분야 선도
- 컴퓨터 사이언스 및 AI 분야에서 세계 100대 대학 중 34개가 미국 속함
- San Francisco 지역 내 AI 분야의 민간투자 지속적 활성화
-정부투자의 43%가 국방 AI에 집중, 집단의사결정 시스템에서 질병진단, 음향분석 등 다양한 응용기술들이 개발
○ (중국) 시진핑 정부는 AI을 경제성장 전략의 핵심요소로 지정, 현 성장률을 유지할 경우 향후 5-10년 이내로 미국을 추월할 것으로 전망
- AI 개발 인프라로 보유한 슈퍼컴퓨터의 수는 미국의 두 배에 해당하는 규모
-안면인식 기술은 세계 최고수준으로, 전 세계 관련 특허의 85%가 중국에서 출원되었으며 이는 미국 내 출원 특허의 13배 규모
- GitHuB라는 코딩 협력플랫폼을 운영하여, 미국, 유럽 등 경쟁자들보다 훨씬 집단적이고 심화된 딥러닝 프로젝트를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