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M&A 활용해 AI·AR 등 성장동력 장전하는 IT 강자들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ZDne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2-13
- 등록일 2020-02-28
- 권호 161
□ 애플, 구글, 페이스북은 AI·AR 등 4차 산업혁명 핵심 기술 제고 위해 전략적 M&A 추진
□ (애플) AI 소프트웨어 스타트업 ‘엑스노.ai(Xnor.ai)’ 인수 발표(1.15)
○ 레이저라이크(머신러닝), 풀스트링(음성인식), 실크랩스(얼굴·사물인식) 등 AI 스타트업에 공격적 투자를 단행해 온 애플이 올 초에도 ‘엑스노.ai’를 약 2억 달러 규모에 인수하기로 결정
※ 인수 시기: 레이저라이크(’19.3), 풀스트링(’19.2), 실크랩스(’18.11)
- ’17년 앨런 앨런 포 AI(Allen Allen for AI)※로부터 독립한 엑스노.ai는 컴퓨팅 능력이 제한된 소형 기기에서 원활하게 작동할 수 있는 AI 소프트웨어 기술 보유
※ MS의 공동 창업자인 폴 앨런이 설립한 AI 연구소
- ’19년 태양열 발전이나 동전 크기 배터리로 작동할 수 있는 독립형 AI칩 개발, 식료품점 선반을 자율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AI 지원 장치 등이 엑스노.ai의 주요 성과
○ 향후 아이폰·아이패드·애플워치 등 애플 스마트 디바이스에 최적화한 AI 기술을 탑재해 작업 효율성을 높이고 서비스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
- 엑스노.ai가 보유한 머신러닝 워크플로우를 기반으로 얼굴인식·자연어 처리·AR 등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관측
‒ 아울러 카메라 SW를 통해 이미지를 캡처하고 처리하는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더욱 효과적으로 구현 가능
□ (구글) ‘루커·앱시트·포인티’ 등 클라우드에서 유통분야까지 인수 활기
○ ‘루커(Looker)’ 인수 규모는 약 26억 달러로 지난 ’14년 스마트홈(실내 온도조절 장치) 기업 ‘네스트(Nest)’ 인수(약 32억 달러) 이후 약 5년 만에 가장 큰 규모
- 통합 데이터 플랫폼 기업인 루커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업이 경영 전략을 수립하거나 경영 효율화, 성과관리, 시장예측 등을 지원하는 소프트웨어 공급이 주력 사업
- 고객사 데이터를 분석하고 관련 정보를 시각화하는 루커 역량을 확보한 구글은 클라우드 시장에서 더욱 다양하고 포괄적인 데이터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쟁력을 제고할 것으로 기대
○ 또한 코드를 알지 못하는 비전문가도 간단한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구축할 수 있는 노코드(No-code) SW 개발 회사 ‘앱시트(Appsheet)’ 인수를 발표(1.14)
- 이번 인수를 통해 구글 서비스 이용자는 구글 스프레드문서 작성 외에도 안드로이드·지도 등 각종 서비스를 활용해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앱을 제작 가능
- 구글 클라우드는 최근 엔터프라이즈 자동화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는데 대응해 애플리케이션 민주화를 추구해 왔으며 앱시트가 이 같은 전략과 비전에 부합한다고 설명
○ 이 외에도 구글 아일랜드 지사가 소매 물류관리 스타트업인 ‘포인티(Pointy)’를 인수해 세계 오프라인 소매상점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확보·관리할 수 있는 기틀 마련
- 포인티는 오프라인 매장 재고를 온라인 데이터로 전환해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강점으로 더 많은 지역 상점의 판매 현황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
□ (페이스북) 컴퓨터 비전 기업, 英 ‘스케이프 테크놀로지스’ 인수 완료(1.24)
※ 컴퓨터 비전은 컴퓨터가 사람처럼 영상·이미지 등을 통해 주변 환경이나 사물을 시각적으로 이해하도록 하는 AI의 한 분야
○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기술력을 차세대 플랫폼 핵심 역량으로 주목해 온 페이스북이 스케이프 테크놀로지스(Scape Technologies) 지분 75% 확보하며 인수 성사
- 스케이프 테크놀로지스는 컴퓨터 비전에 기반한 ‘시각적 위치 확인 서비스(Visual Positioning Service)’ 기술력을 보유해 GPS보다 훨씬 더 정밀한 위치 정확도를 요구하는 앱 개발 가능
※ 시각적 위치 확인 서비스를 탑재한 스마트폰 앱 카메라로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사원을 비추면 자동으로 이미지를 분석해 GPS 상 위치뿐 아니라 더 세분화된 맞춤 정보 제공
- 초기에는 AR 앱을 겨냥해 시각적 위치 확인 서비스를 개발했지만 최근 모빌리티·물류·로봇 공학 분야에서도 유용한 잠재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
○ 현실 배경을 토대로 다양한 AR 체험이 가능하기 때문에 페이스북 플랫폼에서 서비스하는 지도·쇼핑·게임뿐만 아니라 AR을 활용한 메신저 서비스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아울러 ’14년 오큘러스 인수 후 출시한 VR 헤드셋(리프트 S), 오는 ’23년 출시를 목표로 프로젝트에 착수한 AR 글래스 개발 사업 등이 더욱 탄력 받을 전망
□ 국내에서도 클라우드·보안에서 의류 업계까지 AI 기업 인수 잇달아
○ AR·VR 등 첨단 기술을 웹툰 콘텐츠에 접목해 새로운 창작의 원동력으로 삼아온 네이버웹툰이 네이버 산하 AI 스타트업 ‘비닷두(V.DO)’ 인수 발표(1.14)
- 비닷두는 ’17.6월 출범한 AI 스타트업으로 △클라우드 인프라 △멀티코드 인식 △골프 자세 분석 △멀티 CCTV 분석 솔루션 등에 강점
- △자동채색(automatic colorization) △펜선 따기(sketch simplification) 등 다양한 콘텐츠 기술 성과를 입증한 네이버웹툰은 비닷두의 AI 인재․역량을 활용해 콘텐츠 역량을 강화할 계획
○ 안랩은 ’19년 차세대 인증(와이키소프트), 클라우드 정보보안(스파이스웨어) 스타트업에 지분 투자를 단행한 데 이어 금년 AI 정보보안 스타트업 ‘제이슨’과 인수 계약 체결(1.22)
- ’17.4월 설립한 제이슨은 AI 기반 내부통제 및 정보유출방지, IT운영 및 장애예측(AIOps) 시스템 ‘제이머신(JMachine)’을 개발해 금융 및 대기업 고객에게 공급
- △AI 기반 이상행위 분석 솔루션 강화 △제이슨의 AI 기반 이상행위 분석 기술 접목으로 솔루션과 서비스 고도화 △향후 AI 기반 클라우드 보안 관제 등으로 사업·기술 시너지 창출이 인수 목적
○ ’12.5월 시각지능(Visual Cognition)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AI 기반 추천 상품 서비스 등을 선보인 ‘오드컨셉’은 싱가포르의 AI 기업 ‘시크릭스’를 인수하며 해외시장 진출 기회 마련
- 시크릭스는 응용 머신러닝 기반의 컨텍스츄얼* 타깃 광고 업체로 이번 인수로 오드컨셉의 해외 사업본부 역할을 담당할 예정
* 소비자가 보고 있는 웹페이지의 콘텐츠 내용에 부합하는 광고를 노출하는 방식
- 오드컨셉은 AI 기반의 이미지 검색과 분석 기술로 개인 맞춤형 패션 추천 서비스 ‘픽셀(PXL)’에AI 광고 솔루션 등을 적용해 고도화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 확대한다는 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