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2020~2030년 5G 이동통신기술 미래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맥킨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2-01
  • 등록일 2020-03-13
  • 권호 16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맥킨지는 향후 10년간(2020~2030) 5G 이동통신기술의 발전을 전망하는 미래보고서를 발표*(’20.2.)

* Connected world: An evolution in connectivity beyond the 5G revolution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G 이동통신 기술의 성공적 발전에 따라 향후 주요 4대 산업에서 GDP 규모가 크게 증가할 전망

- 교통물류업, 의료보건업, 제조업 및 소매업 등 4대 주요 산업에서 GDP 규모가 20201.2조 달러에서 20302조 달러로 증가 예상

- 전체 증가액 중 300Mbpx 이상의 고대역 5G에서 20~30%를 차지하고, 나머지70~80%300Mbpx 미만의 저중대역 5G에서 차지할 전망


1-2-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8년 기준, 2030년 국가별 이동통신망 및 고정통신망 보급률을 전망한 결과, 오늘날보다 디지털 격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

- 한국, 미국, 일본 등 개척형 국가(Pioneer)2030년에 이동통신망의 50~55%300Mbpx 이상 고대역 5G로 예상

- 프랑스, 독일, 영국 등 선도형 국가(Leader)2030300Mbpx 고대역 5G 보다는 300Mbpx 미만 저대역 5G에 의존할 것으로 보임

- 중국의 경우 과학기술 집중 투자로 인해 2030년에는 한국과 같은 개척형 국가와 유사한 수준의 고대역 5G 보급률을 달성할 것으로 보이며, 고정통신망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전망

- 브라질, 폴란드, 터키 등 발전형 국가(Follower)도 선도형 국가를 위협하는 수준임

- 파키스탄, 볼리비아, 아프리카 대륙 등 후발형 국가는 고정망 통신의 발전도 이루기 어려울 전망이며, 인도의 경우 발전형 국가보다는 높은 수준을 예상


1-2-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