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20년 의약산업 트렌드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전망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2-18
  • 등록일 2020-03-13
  • 권호 16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 전망산업연구원은 2020년 중국 의약산업 시장 변화 트렌드를 분석(’20.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최근 중국은 인구 노령화 추세에 따라 의료 보험 비담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제네릭 의약품(복제약) 사용을 적극 권장


- 최근 인구 고령화의료보험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연평균 의료비용 중 노인 비율이 49.1%를 차지

  

* ’18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중이 11.9%이며, 인구수는 16,658만명임


- 중국은 불완전한 의약품 가격 메커니즘으로 일반 의약품 가격이 비현실적으로 높은 실정임


- ’16년 기준, 중국 제네릭 의약품 매출액은 680억 달러이며, 전체 약품 매출시장의 64%를 차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8년 중국 정부는 국무원, 발전개혁위 주도로 관계부처간 의료보험 지불용 약품 조달 정책을 발표


- 약품조달 발전과정은 총 6단계로 나뉘며, 약품조달 모델은 혁신에서 보급으로, 의료기관주도에서 정부주도로, 지방에서 국가차원으로 변화


- ’1811‘4+7 집중조달에서 ’199연맹지역 집중조달‘,현재의 중국전역 약품 집중조달에 이르기까지 조달 정책이 꾸준히 개선 


1-5-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정부의 대량구매 모델이 정착되면서 약품 가격이 기존 크게 하락하여 정부의 의료보험 비용 지출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 대량 구매를 통해 약품 가격을 낮춰 1억 위안의 규범적인 약품 사용을 유도하고, 의료보험 비용 지출 통제에 주안점을 둠

  

대량구매란 일치성평가(오리지널 신약 치료효과와의 품질 일치)를 통과한 복제약품에 대응한 범용약품 중 시범 품목을 선별하여 국가가 약품 집중조달시범을 실시

- 공동조달판공실에 따르면 조달연맹에 총 77개 기업이 있으며, 기업 45, 제품 60개를 선정할 예정


- 과거에는 의료보험이 환급-약물가격-의료보험지출의 악순환을 이루었으나, 약물가격 내 많은 마케팅 비용과 학술 비용이 포함되었는데, 대량구매로 원가 비용이 크게 감소


- 고령화로 심각해진 국가의료보장 체계에서 중국 정부의 대량조달 방식은 제네릭 약품의 가격을 적정수준으로 회복하는게 크게 기여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이와 같은 제약 산업의 개편에 따라, 기업은 제약업계에 새로운 이윤 창출을 찾고자 혁신적 연구개발 확대에 집중


- 대형 제약회사들은 정부의 대폭적인 가격 인하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기존 영업 인력을 줄이는 대신, 유리한 사업에 집중하고자 전략적 구조 조정을 추진

1-5-2.PNG

- 최근 통계에 따르면, 제약기업의 연구개발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93분기 A165개 제약업체 중 118개 기업의 연구개발비가 지난해보다 평균 37.6% 증가함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