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20년 의약산업 트렌드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전망산업연구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2-18
- 등록일 2020-03-13
- 권호 162
중국 전망산업연구원은 2020년 중국 의약산업 시장 변화 트렌드를 분석(’20.2.)
최근 중국은 인구 노령화 추세에 따라 의료 보험 비담 부담이 증가하고 있어, 제네릭 의약품(복제약) 사용을 적극 권장
- 최근 인구 고령화의료보험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연평균 의료비용 중 노인 비율이 49.1%를 차지
* ’18년 65세 이상의 노인 인구 비중이 11.9%이며, 인구수는 1억 6,658만명임
- 중국은 불완전한 의약품 가격 메커니즘으로 일반 의약품 가격이 비현실적으로 높은 실정임
- ’16년 기준, 중국 제네릭 의약품 매출액은 680억 달러이며, 전체 약품 매출시장의 64%를 차지
’18년 중국 정부는 국무원, 발전개혁위 주도로 관계부처간 의료보험 지불용 약품 조달 정책을 발표
- 약품조달 발전과정은 총 6단계로 나뉘며, 약품조달 모델은 혁신에서 보급으로, 의료기관주도에서 정부주도로, 지방에서 국가차원으로 변화
- ’18년 11월 ‘4+7 집중조달’에서 ’19년 9월 ’연맹지역 집중조달‘,현재의 ’중국전역 약품 집중조달‘에 이르기까지 조달 정책이 꾸준히 개선
정부의 대량구매 모델이 정착되면서 약품 가격이 기존 크게 하락하여 정부의 의료보험 비용 지출이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대량구매란 일치성평가(오리지널 신약 치료효과와의 품질 일치)를 통과한 복제약품에 대응한 범용약품 중 시범 품목을 선별하여 국가가 약품 집중조달시범을 실시
- 공동조달판공실에 따르면 조달연맹에 총 77개 기업이 있으며, 기업 45개, 제품 60개를 선정할 예정
- 과거에는 의료보험이 ‘환급-약물가격-의료보험지출’의 악순환을 이루었으나, 약물가격 내 많은 마케팅 비용과 학술 비용이 포함되었는데, 대량구매로 원가 비용이 크게 감소
- 고령화로 심각해진 국가의료보장 체계에서 중국 정부의 대량조달 방식은 제네릭 약품의 가격을 적정수준으로 회복하는게 크게 기여함
이와 같은 제약 산업의 개편에 따라, 기업은 제약업계에 새로운 이윤 창출을 찾고자 혁신적 연구개발 확대에 집중
- 대형 제약회사들은 정부의 대폭적인 가격 인하 압력에 시달리고 있으며, 기존 영업 인력을 줄이는 대신, 유리한 사업에 집중하고자 전략적 구조 조정을 추진
- 최근 통계에 따르면, 제약기업의 연구개발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19년 3분기 A주 165개 제약업체 중 118개 기업의 연구개발비가 지난해보다 평균 37.6% 증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