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EU, 인공지능 백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유럽연합 집행위원회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0-02-19
  • 등록일 2020-03-13
  • 권호 16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유럽연합집행위는 EU의 인공지능 백서를 발표*(’20.2.)

 

* WHITE PAPER - On Artificial Intelligence - A European approach to excellence and trust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디지털 기술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유럽이 기술과 산업기반을 적극 활용하여 디지털 경제와 애플리케이션 부문에서 글로벌 혁신 리더로 부상해야할 시점임


- 유럽은 제품과 서비스 측면(에너지,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기기)에서 안정성과 신뢰성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큼


- 그럼에도, 아직 유럽은 B2B, B2C 애플리케이션 등 사용자 플랫폼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상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향후 시민사회, 민간산업, 공공부문에 걸쳐 인공지능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기본 추진 방향 제시


1) 산업 및 시장 내 자금 확대

- 글로벌 제조업 시장에서의 인공지능 개발은 이미 선도적인 수준이며, 대기업의 과반수 이상은 인공지능을 생산설비 및 프로세스에 이미 도입


- 지난 3년간 EU의 펀딩 프로그램을 통해 인공지능 부문에 투입된 공공 R&D 예산은 약 15억 유로이나, 북미 및 아시아 권역과 비교해 볼 때, 아직 현저히 낮은 수준임


- EU 회원국간 긴밀히 협조하여 인공지능 분야의 투자 규모를 높여 인공지능 가치사슬 구축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한 조치 마련

 

1-7-1.PNG

2) 차세대 데이터 흐름 기회 활용

- 전 세계적으로 거대한 양의 데이터가 생산중이며, 이를 통한 데이터 기반 경제 잠재력은 무한해질 전망


- 양자 컴퓨팅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산업계 및 연구 커뮤니티 지원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역량 강화를 위한 머신러닝, 딥러닝 기술 개발 지원

 

3) 우수한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

- 회원국과의 공조, 연구 및 혁신커뮤니티 조성, 기술역량 강화, 중소기업간 협력 장려, 민간부문과의 파트너십 강화, 공공부문 인공지능 도입 확대 등 전략수립

   

1-7-2.PNG

4) 인공지능 규제 프레임워크를 통한 신뢰 강화

- 인간대리자로서의 인공지능 감독, 기술적 견고성 및 안정성, 프라이버시 및 데이터 주권, 투명성, 다양성 및 공정성, 사회복지, 책임소재 규명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