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16년 해킹 불가능한 양자과학실험위성 발사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4-12-25
  • 등록일 2015-01-26
  • 권호 39

상하이시 과학기술위원회는 위성-지상 간 고속양자통신과 광역양자통신시스템구축을 위한 ‘양자과학실험위성*’을

   2016년에 발사할 계획(2014.12.25)


   * 양자암호통신기술을 적용한 위성으로, 양자역학을 응용해 광자(빛의 단위물질)로 통신하는 차세대 암호기술을 활용하면

      도감청 및 해킹의 원천 차단이 가능

 
○ 1단계로 양자통신네트워크를 지상에 구축하고, 2단계로 위성을 이용한 우주공간과 지구와의 고속양자통신을 실현할 계획


○ 미국‧EU에 앞서 양자통신의 세계 서비스 능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


 - 미국, 일본, 유럽 등 주요국에서도 양자통신기술 연구를 강화하는 추세

상하이기술물리연구소는 위성에 적용하는 양자암호통신기술의 상용화를 위하여 2012년부터 지상에 양자통신

   네크워크 구축을 시작


○ (2012년) 세계 최초 도시권 양자통신 시험시범망인 ‘허페이(合肥) 도시권 양자통신 네트워크’가 18개월간에 걸쳐 구축


 - 전송하는 정보 콘텐츠의 도청, 복제 또는 해독이 불가능 한 통신서비스를 정부기관‧금융기관‧연구소에 제공


○ (2013년) 사용자의 일상생활 응용을 목적으로 지난(济南)에서도 양자통신 시험망을 시행


 - 양자통신 제어국과 단말기를 이용하여 안전한 음성과 영상 통신, 안전한 파일 팩스 전송, 안전한 데이터전송을 실현


 - 90개의 사용기관 확보, 수천만 명의 사용자 수용 가능, 사용자에게 무료로 네트워크를 제공


○ (2014년) 베이징-지난-허페이-상하이를 양자통신으로 연결


 - 전체 길이는 2,025km로, 4개 도시 간 망사형 네트워크를 구현하였으며, 8Gbps 암호화 응용데이터 전송서비스를 금융기관에

    제공

 
 - 베이징-상하이의 도시권 양자통신망은 2014년 말과 2015년 중기에 구축예정, 2025-2030년에는 중국 전역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망이 구축될 전망


□ 주요국의 양자통신기술 연구현황


○ (미국) 국가안보국(NSA)은 7,970만 달러를 투입해 암호화 기술을 해독하는 양자컴퓨터 연구개발(‘Penetrating Hard Targets’

    계획)을 진행 중


 - 이번 계획의 협력파트너는 메릴랜드 칼리지 파크에 위치한 실험실 중 하나로, 양측은 비밀유지 계약서를 체결하여 비밀리에

    연구개발 중

 

○ (유럽) 영국․독일․이탈리아․오스트리아․스페인 등의 국가를 포함한 양자정보물리학 연구망을 구축 중


 - 유럽핵연구기구(CERN)와 우주기술국제협력에 이어 과학기술의 중대한 문제에 대응하는 또 다른 대규모 국제협력사업


○ (일본) 최근 양자전송기술 분야에 진일보한 기술을 선보이며 양자컴퓨터와 양자정보통신기술 R&D 활성화를 촉진


 - 2013년 8월 일본도쿄대학 연구진이 개발한 ‘gain-tuning’ 신호조절기술은 양자전송 성공률을 100배 이상 향상, 현재의 1%

    미만에서 61%로 향상 

□ 시사점


○ 중국의 양자통신망 개발은 다른 주요 국가들보다 늦었지만, 주요 국가산업으로 선정되어 개발에 집중한 결과 세계 선두지위를

    유지


○ 우리나라는 선진국과 이미 10여년* 정도의 기술격차가 존재하므로, 정부가 양자 기술 분야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고 전략적인

    투자를 통해 일부 핵심 분야에 대한 기술 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시점

 

  * 방송통신기술 이슈&전망 2014년 제34호 

 

※ 최초의 양자과학실험위성

• 소위성으로, 무게는 수백kg에 불과


• 목표는 양자통신 관련 실험 수행


• 이론적으로 양자통신은 최고의 보안을 제공


 - 타인이 대화를 도청하려면 대화에 대한 복제과정이 필요

 - 단, 복제할 정보가 양자로 구성될 경우 대화내용이 달라짐


• 향후 많은 양자통신위성이 발사된 후 글로벌 양자통신망 구축이 가능


 ※ 중국과학원에서 양자통신위성을 제조하고,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양자통신위성이 발사된 후 실험을 진행 

 출처 : 상하이과학기술위원회 (2014.12.25)
http://www.stcsm.gov.cn/xwpt/kjdt/339346.htm
http://www.guancha.cn/Science/2014_11_27_301758.shtml
http://bbs.tiexue.net/post2_6120147_1.html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