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KPMG 글로벌 기술혁신 허브 2020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KPMG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3-01
  • 등록일 2020-03-27
  • 권호 16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KPMG’2020 글로벌 기술산업 혁신조사의 일환으로 글로벌 기술혁신 허브*를 발표(’20.3)

* Technology Innovation Hubs

KPMG는 매년 12개국 기술 산업계 리더 810명을 대상으로 글로벌 기술혁신 조사를 수행해 오고 있으며, 올해 8회째 진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실리콘 밸리를 제외하고, 향후 4년간 기술혁신 허브를 이끌 글로벌 10대 도시에 싱가포르1위로 선정

- 싱가포르는 첨단 IT 인프라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지식재산권(IP) 보호법, 다양한 인재 풀 등이 우수하고, 스마트네이션, AI 전략 등이 높게 평가

- 그 뒤를 이어 런던, 텔아브비, 도쿄, 뉴욕, 상하이, 베이징, 서울(8) 순임

- 이스라엘 혁신도시 텔아비브는 세계적인 인공지능 기술과 모빌리티 기술역량이 우수하고 관련 수요의 급증으로 작년 15위에서 3위로 대폭 상승


3-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글로벌 최대 기술혁신 개발 국가로는 전년과 동일하게 미국이 28%를 차지하였고, 그 뒤로 중국과 인도 순으로 나타남

- 작년 미국과 중국은 6%포인트 차이가 났지만 올해는 15%포인트 차이로 두 배 이상 격차가 벌어진 것으로 조사됨

- 이는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 및 무역거래 재협상, 해외 기업 인수 차단 등의 기술과 지식재산권(IP)제재와 같이 중요 기술 보호를 위한 미국의 지속적인 노력의 결과로 평가



3-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실리콘 밸리가 주요 기술혁신 허브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나, 향후 4년 내 세계 기술혁신 중심지가 다른 도시로 이동할 것이라는 전망도 꾸준히 제기

- 응답자의 37%가 향후 4년 내 혁신의 중심지가 이동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으나, 전년도 58% 대비 확연히 줄어든 비율임

- 소도시 중심으로 특정기술과 산업군이 집중되어 마이크로허브가 주목받게 되면서 실리콘밸리와 같은 글로벌 허브 경쟁이 완화되는 경향임 



3-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