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로봇산업 시장 및 기술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기계공업연합회(JMF)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3-26
- 등록일 2020-04-10
- 권호 164
일본기계공업연합회는 일본 로봇산업 시장 및 기술 관련 동향을 분석(’20.3.)
최근 생산현장 내 로봇의 활약 외에도 서비스 분야, 간호․의료․사회 인프라 등 폭넓은 분야에서 로봇 활용이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임
- ’19년 국제로봇연맹(IFR) 로봇 세계 통계에 따르면 ’18년 세계 산업용 로봇 설치 규모는 전년대비 6% 증가한 422,271대로 6년 연속 증가
- 산업별로 보면 자동차 산업(60%), 전기․전자산업(25%), 금속․기계(10%), 플라스틱․화학제품(5%), 식품․음료(3%), 기타(19%)로 나타남
- 아시아는 세계 최대 로봇 시장이나 ’18년에는 전년 대비 1% 증가하여 최근 성장폭이 크게 둔화
산업용 로봇 주요시장은 중국, 일본, 미국, 한국, 독일이며, ’17~’18년 전체 규모의 36%를 차지
- 한국은 ’16년 41,373대로 최고치를 기록하였으나, ’18년 전년 대비 5% 감소한 37,807대 설치
’18년 서비스 로봇*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271,113대이며, 판매액은 92억 달러에 달함
* 분야로는 옥외로봇, 청소, 검사․보수 시스템, 건설․해체, 물류시스템, 의료로봇, 구조경비, 방위, 수중시스템, 파워슈트, 이동플랫폼, 안내로봇 및 놀이기구, 상기 이외 서비스로봇으로 구분
- 이용분야를 보면 물류시스템(110,864대)이 업무용 로봇의 약 7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뒤로 검사‧보수 시스템(106,070대)이 차지
-’18년 업무용 서비스 로봇은 유럽이 47%, 미국이 46%, 아시아 및 호주 지역이 7%를 생산
’20년 상반기에는 5G를 상용화하여 스마트폰이나 PC뿐 아니라, 가전 및 센서 등 모든 기기가 인터넷에 접속하여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
-5G 성능을 활용하여 건설기계나 로봇을 원격 조작할 수 있으며, 지상 60m 높이의 크레인 영상 전송이 가능함
- 산간지역 진료소에 있는 환자의 고정밀 영상을 대학병원에 5G로 전송해 진찰을 받는 원격의료 가능
- 마주 오는 차량, 보행자 횡단, 공사로 인한 도로 규제 등을 즉각 판단하는 자율주행차 제어 가능
- ’20년 세제개정 안에 5G 관련 설비를 구축한 기업에 대해 2년간 설비 투자액의 15%를 법인세로부터 세액을 공제하는 지원정책을 포함
요양시설에서는 커뮤니케이션용 돌봄 로봇을 시험적으로 도입하여, 치매 고령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조사
- GROOVE X의 로봇 LOVOT(라봇)은 커뮤니케이션 체험용 로봇으로 작은 동물과 같이 울음소리를 내며, 쓰다듬거나 안아주는 접촉에 반응
- SOMPO 케어는 라봇과의 접촉에 따른 치매 노인의 행동 변화에 대한 실증실험을 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