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화웨이(유럽)・삼성전자(북미)…5G 통신장비 경쟁 본격화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뉴시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3-22
  • 등록일 2020-04-10
  • 권호 16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화웨이, 미국 압박 수위 고조 속 유럽 5G 통신장비 시장에서 세 확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기업의 통신 장비 구매 시 보조금을 금지하는 법안에 서명(3.12)하는 등 고강도 제재에도 불구하고 화웨이는 유럽 시장 공략에 속도

3-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미국이 안보 위험을 이유로 주요 동맹국에게 화웨이 제품 사용 금지 요구에도 불구하고 EU집행위원회(EC)5G 이동통신 구축과정에서 화웨이를 배제하지 않겠다고 결정

- 5G 이동통신 구축과 관련한 안보 위험에 대처하기 위해 ‘5G 보안 지침을 공개(1.29)하고 EU 회원국에 공급자의 위험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라고 권고

- 핵심적이고 민감한 부품의 경우 위험도가 높은 장비 공급자를 제한할 것을 요구했지만 화웨이를 비롯한 특정 국가나 업체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지 않았으며 각 회원국이 화웨이를 이용할지에 대해 결정하도록 허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프랑스) 량화(梁華) 화웨이 이사회 의장은 2억 유로(2,600억 원 상당)의 초기비용을 투자해 5G 무선통신장비 공장 설립 계획을 발표(2.27)


-프랑스에 5G 부품 공장을 설립하여 현지 부품 공급망을 구축하는 동시에 높은 기술력과 경쟁사 대비 20~30% 낮은 구축비용을 강점으로 유럽 시장을 공략할 계획

-프랑스 공장부지 선정을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일정은 프랑스 당국과 후보 부지 조건에 따라 결정할 예정이나 중국 이외 지역 공장 중 최대 규모가 될 것으로 예측

-앞서 프랑스가 5G 이동통신망 구축사업에서 중국의 화웨이 장비를 원칙적으로 배제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발표(2.13)한만큼 유럽 시장에서 입지를 확실하게 구축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

  

, 군사·원자력 시설 등 안보 관련 중요시설에는 화웨이 장비 도입을 제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영국) 5G 통신망 구축에 화웨이 장비를 일부 도입하기로 결정(1.28)

- 웨이 장비를 핵 관련 시설과 군사시설 등 기밀정보가 많은 민감한 분야에서는 제한하고 기지국과 안테나 등 일부 품목에 한해 점유율이 35%를 넘지 않는 선에서 허용

- 영국의 보안 전문가들은 화웨이 장비를 핵심 국가 통신망에 도입하지 않으면 국가 기밀이 유출되는 등 국가 안보에 위협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언급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이 외에도 영국과 프랑스에 이어 독일·네덜란드 등 다른 유럽국가도 화웨이 5G 장비를 제한적으로 수용하고 있으며 캐나다 역시 긍정적으로 검토 중

3-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한편, 화웨이는 세계 시장에서 맺은 5G 통신장비 공급계약 91(3월 초 기준) 중 절반 이상인 47건을 유럽기업*과 체결하며 유럽 시장 진출에 박차

  

(스위스) 선라이즈 (포르투칼) 알티스 (스페인) 스페인보다폰 (아이스란드) 노바 등


- 보다폰·도이치텔레콤·텔레포니카 등 유럽 이동통신사는 현재 LTE 시장에서 가격경쟁력과 성능 검증을 받은 화웨이 장비를 활용하고 있어 5G 시장에서도 현실적으로 배제하기 어려운 상황

3-3.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삼성전자, 북미시장 선점뉴질랜드·일본 등으로 확대 진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기술과 사업 역량을 인정받아 스프린트(’18.5)·버라이즌(’18.9)·AT&T (’18.9)·US셀룰러(2.23) 4개 이동통신사와 협약을 맺고 5G·4G 이동통신장비를 공급

-5G 통합형 기지국(Access Unit) 3GPP 국제표준 기반의 다양한 5G 솔루션을 제공

  

5G 통합형 기지국은 크기와 무게를 최소화하여 가로등·건물 벽면 등에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며 광케이블 매설 비용도 절감할 수 있어 5G 네트워크 구축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는 것이 장점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뉴질랜드) 그동안 화웨이의 LTE 장비를 사용해 온 뉴질랜드 최대 이동통신사인 스파크와 5G 통신장비 공급 계약을 체결(3.5)

-질랜드에 이동통신 장비를 공급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국내에서 상용화한 3.5GHz 주파수 대역 5G 기지국(Massive MIMO) 장비 등으로 연내 5G 상용망을 구축할 계획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일본) 2위 이동통신 업체 KDDILTE 장비 공급에 이어 5G 장비 공급사로 선정(’19.9)

-’24년까지 20억 달러(23,500억 원) 규모의 5G 네트워크 장비 등을 수도권 중심으로 공급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