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코로나19 현장에서 맹활약하는 AI・로봇 등 첨단기술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ZD Net KORE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3-20
  • 등록일 2020-04-10
  • 권호 16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세계적 대유행 단계로 진입한 코로나19, WHO·CDC 보다 AI가 먼저 예측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캐나다 AI 의료 플랫폼 업체인 블루닷(BlueDot)’은 코로나19’20년 초 대유행에 접어들 것이라며 경고(’19.12.31)

  

세계보건기구(WHO)1.9, 미국질병센터(CDC)1.6일 확산을 경고

-’03년 사스 사태를 계기로 전염병 확산에 관심을 갖고 이를 집중 연구하기 위해 설립한 블루닷은 현재 의사수의사, 전염병 전문가, 데이터 과학자, SW 개발자 등 40여명으로 구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주요 기관보다 한발 빠르게 전염병 확산을 예측할 수 있던 비결은 블루닷 AI 알고리즘의 정보 수집·분석 기술 때문

-블루닷 AI 알고리즘은 15분마다 인터넷에서 질병 관련 뉴스 기사와 정부 발표문, 의료 전문 포럼·학회 홈페이지 게시물, 관련 기관 보고서, 전문가 블로그 포스트 등을 수집·분석

-5개 언어를 이해할 수 있으며 150여개 질병 관련 정보를 수집해 하루에 검토하는 문서만 10만 개 이상으로, 이에 대한 신뢰성을 판단하며 고객에게 경보를 보내는 방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코로나19가 발생한 중국을 비롯해 미국·일본·한국 등 세계 각국에서 전염병 진단, 예방, 방역 등 광범위한 영역에 AI를 적극 활용


4-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미국) 실리콘밸리의 AI 기술력 앞세워 근본적인 치료와 예방법 개발 착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3월 초 구글은 AI를 활용해 코로나19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겠다고 밝히며 AI 자회사 딥마인드의 의료용 AI ‘알파폴드(AlphaFold)’를 활용

-딥마인드는 알파폴드를 활용해 백신과 치료제를 만들 수 있는 단백질의 3D 구조 분석 연구를 위해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 등 주요 생물학, 화학 연구진과 협업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아마존 클라우드사업부 AWS는 코로나19 진단 솔루션 출시를 앞당기고 유사한 과제에 직면한 조직 간 협업 촉진을 위해 ‘AWS 진단개발 이니셔티브 프로그램*출시(3.20)

AWS Diagnostic Development Initiative

-주요 과학자, 글로벌 보건 정책 전문가, 전염병 진단 분야의 선구자로 구성된 외부 기술 자문단의 조언을 빠르게 처리·분석하여 효과적 진단과 감염 억제 기술·치료제 개발을 지원하는 것이 목표

-프로그램 일환으로 전염병 발생을 완화하기 위한 진단연구, 혁신과 개발에 초기 2,000만 달러(249억 원) 투자 계획도 발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데이터 분석기업 SAS는 현지 환자의 상세 정보, 의류 물자 사용 현황, 해외 확산 사례 데이터 등을 AI로 분석해 전염병 확산 경로를 예측하는 서비스 제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이 외에도 제약회사인 인실리코 메디슨은 AI를 기반으로 수천 개 분자를 분석해 코로나19 바이러스 퇴치에 적합한 분자 구조 정보를 홈페이지에 공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바이오 분야 스타트업인 비르 테크놀로지도 AI를 통해 화학 데이터를 분석하고 치료제 개발에 착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 AI·로봇·드론 등 첨단기술이 감염 차단, 조기 감지 등에 활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알리바바를 비롯한 다수의 IT 기업이 AI 기반의 코로나19 진단 및 분석 툴을 개발하거나 정보 서비스에 나서며 대응

- (알리바바) 환자 흉부 CT 스캔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을 탐지할 수 있는 AI 시스템을 개발하여 중국 전역의 병원에서 시범 운영하면서 공급을 확대할 계획

- (바이두) 지하철역의 방역 작업을 위해 베이징지하철과 협력해 개발한 ‘AI 마스크 검측 솔루션테스트에 돌입(3.5)


- (화웨이) AI 반도체 칩 어센드(Ascend) 시리즈를 사용해 의료 CT 이미지를 단 몇 초 만에 신속히 판독해 코로나19를 진단할 수 있는 ‘AI+CT 의료 이미지 분석서비스 개발(3.19)

- (평안기술) AI 진단 시스템이 충칭시와 선전시 보건 당국의 코로나19 감염자 진단에 활용. 이 시스템은 정확도 90% 이상으로 신속하게 감염 여부를 파악

- 이 외에도 AI 기업 인텔리퓨전(雲天勵飛바이두 등 다수의 기업이 참여해 개발한 AI 기반 체온 측정 기술이 감염 차단을 위해 활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또한 AI를 접목한 지능형 로봇이 원격 진료, 환자 건강상태 모니터링, 비대면 물품 배송 등 코로나19에 대응한 다양한 업무 현장에 투입

- 상하이 TMiROB·시아순 등 주요 로봇 기업과 징둥닷컴 등 물류 회사가 AI 기반 지능형 로봇을 활용해 병실 소독, 음식 배달, 공공장소 순찰 등 다양한 업무 수행

- 차이나모바일은 AI·5G 통신을 기반으로 살균제 탱크를 싣고 지정된 경로를 따라 병원 안을 안전하게 청소할 수 있는 스마트 5G 로봇을 우한 등 주요 도시에 기증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한국) 의료·통신·제약 업계의 AI 기반 발병 예측·진단·치료제 개발 속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국내에서도 다양한 업계에서 신종 바이러스 연구, 발생지 역학 조사 등에 시간·비용을 단축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AI 기반 연구개발 시작

- (명지병원) 피노맥스와 함께 개발 중인 폐CT·X-ray 영상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코로나19 진단 속도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AI 서비스 개발 진행

- (한글과컴퓨터그룹) 중국 AI 기업인 아이플라이텍스가 활용한 AI 콜센터 기술과 노하우를 접목해 격리자 발열·기침 등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한컴 AI 체크25’ 개발

- (네이버) AI 플랫폼에서 능동 감시자에게 하루에 2번씩 자동으로 전화를 걸어 발열과 호흡기 증상 등을 확인하는 ‘AI 케어콜 상담 서비스운영

- (KT) 코로나19 확산 예측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기관과 함께 코로나19 확산 예측 연구 얼라이언스구축 계획

-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한국공간정보통신·가온아이·와이즈넛·이스트소프트 등과 함께 코로나19 종합상황지도를 제작·서비스하며 현재 1억 뷰 달성

-이 외에도 씨젠은 진단키트 개발, 뷰노·JLK인스펙션은 폐 질환 X-ray 판독, 디어젠은 치료제 개발 등 제약 업계의 AI 활용 연구 활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한편 우리 정부는 AI·데이터·클라우드 기업이 코로나19 위기 극복에 동참하고 있다고 밝히며 해당 기업 지원 방안을 발표(과기정통부, 3.12)

- 국내 AI, 데이터, 클라우드 기업들은 현재 세계 최고 ICT 인프라를 토대로 확산 상황 및 대응 정보 제공 환자 진단 및 선별 치료제 발굴 및 개발 ICT 서비스 개발 중

- 이에 과기정통부는 컴퓨팅 자원과 데이터 바우처, 재택근무에 필요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관련 기업에 우선 지원하고 국토부·질병관리본부 등과 협력해 역학조사 지원시스템도 운영할 예정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