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거점, ‘인도・베트남’으로 이전 가속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counterpointresearch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3-23
  • 등록일 2020-04-10
  • 권호 16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 휴대폰 생산 공장 철수()중국 가속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세계 스마트폰 생산량 가운데 중국에서 생산한 제품 비중은 ’1675%에서 ’1968% 7%p 감소(Counterpoint Research, 3.23)


-중국 근로자의 인건비 상승 ·중 무역분쟁 인도·베트남 등 신흥 스마트폰 시장 성장 등이 중국 시장 비중이 낮아진 배경


-울러 코로나19 사태로 공장가동 중단 조업·물류 지연 등으로 제품 공급망이 차질을 빚으면서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의 중국 이탈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

 

6-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을 대체할 생산기지로 인도·베트남 등 신흥시장 주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에 이어 세계 두 번째 스마트폰 시장으로 성장한 인도는 제조 강국으로 성장을 위한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정책 하에 스마트폰 생산 기지 유치에도 적극적


-스마트폰 제조사에 대출 이자를 보조금 형태로 지원하고 있으며 자국 내 생산된 스마트폰 수출 보조금을 4%에서 6%로 높이는 계획도 추진


-이 외에도 무관세였던 스마트폰 완제품과 관련부품에 15~20%의 고관세를 부과하면서 인도 현지 생산을 유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베트남도 중국 대비 저렴한 인건비와 각종 개혁개방 정책을 무기로 스마트폰 공장 유치에 적극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삼성전자·애플·샤오미 등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업체는 수익성 회복과 비용절감을 위해 인건비가 더 저렴한 베트남과 인도로 이전하고 있는 상황

6-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삼성전자) ’18년 중국 톈진공장을 시작으로 후이저우 공장까지 폐쇄(’19.9)하면서 중국 스마트폰 생산 공장을 모두 철수하고 인도와 베트남을 새로운 근거지로 확보


-뉴델리 인근에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폰 공장을 완공(’18.7)했으며 기존 공장 규모를 두 배로 확장하여 연간 12,000만 대의 스마트폰 생산 중


-또한 인도 뉴델리 인근 노이다 지역에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공장을 짓기 위해 현지 규제기관에 총 5억 달러 규모의 투자 계획을 제출(’20.1)하는 등 디스플레이 공장을 신설할 계획


-이 외에도 베트남 북부 박닌과 타이응우엔에 각각 스마트폰 1공장과 2공장을 설립하고 연 15,000만 대의 스마트폰을 생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애플) 아이폰의 90% 이상을 위탁 생산하는 폭스콘과 페가트론도 일부 생산 라인을 인도로 이전


-’17년부터 애플의 아이폰SE, 아이폰6S 등을 인도에서 생산하며 중국 생산 비중을 낮추고 있는 상황


-최근 중국 내 생산시설 중 15~30%의 해외 이전을 추진 중이며 인도와 베트남이 유력한 후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오포) 인도 그레이트노이다에 위치한 제조 공장에서 매월 400만 대의 스마트폰을 생산할 수 있도록 물량을 확대할 계획


-’21년 까지 생산 물량을 두 배로 늘려 연간 9,000만 대 이상의 스마트폰을 생산하는 것이 목표


-한편, 금년 말 까지 인도 공장에서 동남아와 아프리카, 중동 국가로 스마트폰을 수출할 예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샤오미) 미국의 전자장비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 플렉스와 협력하여 인도 타밀나두주에 7번째 인도 스마트폰 제조 공장을 건립 예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화웨이) 인도 첸나이 인근의 플렉스 공장에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을 조립 생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이 외에도 비보·원플러스 등도 스마트폰 생산량 중 절반 이상을 인도에서 생산하며 중국 스마트폰 제조업체마저 해외 생산을 늘리고 있는 상황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