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금속소재산업 기술 동향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3-31
  • 등록일 2020-04-24
  • 권호 16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경제 산업성은 일본 제조업의 핵심분야인 금속 소재 산업 동향 및 과제를 조사(’20.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디지털화, IoT의 진전 등 4차 산업혁명 출현으로 제조산업은 큰 전환점에 직면하고 있으며, IT를 이용한 소재개발 기술도 새로운 도전에 대응이 요구


- 제조업 금속·소재 산업의 수요자로 자동차, 항공기, 산업기계, 에너지 플랜트, 전기업체 등이 위치

  

소재통합(Materials Integration)이란 재료과학 이론, 실험, 해석, 시뮬레이션, 데이터베이스 등 모든 과학기술을 융합한다는 의미로 금속재료, 고분자 재료, 세라믹 재료, 복합재료 등 모든 종류의 재료를 대

   상으로 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철강업체·특수강업체·비철업체·화학업체 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MI(Materials Integration), AI를 활용한 소재개발 추진에 집중


1) MI·AI를 활용한 소재개발 관련 이슈

 

- MI·AI 도입을 통해 신소재 평가 시간 단축 및 실험 횟수 감축 등이 기대되고 있는 한편, 대규모 IT 기업의 참여나 중국의 존재가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

 

- 장기적 관점에서 볼 때 MI의 도입은 합리적 실험은 가능하나, 투자분은 회수 가능할 것으로 보임(철강·비철업체, 화학업체)

 

- 대규모 IT기업이 MI에 참여하고 있는 회사를 매수할 위험이 높다는 점에서 IT기업을 위협적 대상으로 인식(화학업체)


2) MI를 활용한 기업의 소재개발 사례

 

- 관련 기업은 대학 및 공공연구기관과 연계하여 툴을 만드는 단계로 기업과 연계하여 추진하는 단계는 아님

 

- MI관련 고분자재료 분야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소재개발이 추진되어 왔으며, 향후 MI R&D 지원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화학업체)




5-1.PNG


3) 제조업체의 디지털화

 

- 생산공정 자동화, 제품 외관검사, 고장 감소 및 예측, 안전 보안 등에 IT 활용

 

- 안전, 품질, 계획, 설비유지·보수, 인력 효율화 등 프로세스에 ICT를 활용해 나간다는 방침(철강·비철업체)


5-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