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코로나19 관련 반도체 시장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맥킨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4-01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맥킨지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반도체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대응 전략을 제시*(’20.4.)
* Coronavirus: Implications for the semiconductor industry
올해 반도체 시장의 매출은 ’19년에 비해 약 최소 5%에서 최대 15%까지 감소될 전망
- 분야별 감소폭은 무선통신장비용 반도체가 11~26%로 가장 크고, 일반가전제품용 반도체 2~12%, 컴퓨터 및 서버용 반도체 1~7%, 일반가전제품용 반도체2~12%, 산업현장용 반도체 1~11%로 예상
- 이와 달리, 유선통신장비용 반도체는 매출이 8~11% 증가할 것으로 예측
반도체 분야별 주요 결정 요인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민감한 정도에 따라 시장 수요가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나타남
- 무선통신장비용 반도체와 자동차 부품 반도체는 경기침체로 소비자들의 통신기기와 자동차에 대한 수요가 크게 감소
- 자동차 차량 디지털화와 전기 자동차 선호도가 높아짐
- 컴퓨터 및 서버용 반도체의 경우, 하이퍼스케일러(Hyperscaler)*기업의 클라우드 기술 투자 규모가 관건
* 대규모 데이터 센터를 건설하고 운영할 수 있는 역량과 자본을 보유한 기업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반도체 산업 단계별 5R(해결, 유지, 복귀, 재구상, 재편) 전략을 권고
① 해결(Resolve)
- 반도체 산업현장, 최종수요자 및 협력업체 입장에서 직면한 시급한 문제 해결
② 유지(Resilience)
- 산업현장 폐쇄 기간과 경기 침체 극복 차원의 단기 금융 지원
③ 복귀(Return)
- 단계적 생산 확대, 조달 전략화, 가격 조정 및 수요 대응 등 기존 체제로의 복귀를 위한 상세 계획 수립
④ 재구상(Re-imagination)
- 뉴노멀 시대의 거시경제적 흐름에 맞는 산업 생산전략 재구상
⑤ 재편(Reform)
- 새로운 규제와 시장 체제 내 생산시스템 총체적 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