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중소기업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수상관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4-13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경제산업성은 미래투자회의 구조개혁추진위원회에서 중소기업 및 소규모 사업자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을 논의 (’20.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견기업으로 성장을 목표로 중소기업 지원 관련 유사 계획을 통합하여 성장단계별로 경영능력 향상’, ‘경영 혁신’, ‘지역경제견인사업계획으로 구성


 - 중소기업 경영강화법에 근거한 기본방침을 바탕으로 경영능력 향상 촉진을 위한 고려사항 제시

  

  * 경영능력 향상이란 현재의 경영자원 및 사업승계로 제공받은 경영자원을 사업 활동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



3-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추경예산으로 생산성 혁신 추진사업3600억 엔을 신규로 마련하여, 설비투자, IT도입, 판로개척 분야 지원을 강화


 - 연중 사업을 공모하여 충분한 준비 후 신청할 수 있도록 배려


 - 제조보조금, IT 도입 보조금, 지속화 보조금 등을 운용


3-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경영 능력 향상계획의 일환으로 관계부처와 연계하여 사업 분야별 모범 사례를 정리한 21분야별 지침 마련

 

  * 경영능력 향상 계획은 현재 기준, 100,339건을 인증하였으며, 비제조업이 60%를 차지


 - 중소기업 및 소규모 사업자가 경영능력 향상 계획 신청 후, 주무대신이 인증


 - 생산성 제고를 위한 설비를 구입한 경우, 중소기업 경영 강화 세제를 지원하고, 계획에 따라 사업 필요 자금 조달 지원(대출신용보증 등)


3-3.PNG

 

 - 업종별 노동생산성을 보면 제조업건설업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차이가 크게 발생


3-4.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공존공생관계를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대기업 견인모델에서 다양한 가치사슬 모델로의 전환 필요성 제시


 - 소비자의 가치관이 다양해지고,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의식이 향상됨에 따라 개인의 수요에 따른 기업 가치 창조가 필요


 -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업종이나 지역의 제약을 넘어 실현하고자 하는 가치를 공유하고 이에 대한 기여에 따라 수익 배분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