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도전과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신업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4-22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국토교통성경제산업성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추진 협의회는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고, ‘2단계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방향성을 발표(’20.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추진협의회는 시범사업 실시지역 의견 조사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과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방향 검토


 - (모빌리티서비스 사업성) 화물 배송 등 지역서비스를 고려하고, 지역에 한정짓지 않고, 외부시장을 확보하여 사업성을 제고


 - (인력부족) 지역 내 대형자동차 2종 면허 보유자가 10년간 20% 감소하여 노선버스, 택시기사 부족 현상이 심각하고, 황금노선 증편 불가능


 - (기존 교통사업자와의 갈등) 현금 없는 결제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고액 수수료 요구 및 택시회사간 통합으로 인한 배차시스템 앱 문제로 인한 문제 발생


 - (교통실태조사의 한계) 설문조사 형식으로 교통 실태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어, 이동수단까지 파악이 불가능


4-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추진한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를 반영하여 새로운 서비스 실현을 위한 5대 과제를 제시

 

1) 다양한 이동 수요 효율성 제고

 

 - 물류, 간병, 통원통학 등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 수요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모빌리티 서비스의 수익성 제고

 

2) 지역 내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 상업의료행정 서비스 등을 유지하기 어려운 지역 내 서비스의 모빌리티화를 실현하여 주민에게 서비스 제공 실현

 

3) 수요 촉진 인센티브 제공

 

 - 앱을 이용한 인센티브 부여 등으로 수요를 촉진시킴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 도시부 정체 해소 및 CO2 감축 등 실현

 

4) 타업종과의 연계를 통한 수익 활용부가가치 창출

 

 - 소매관광부동산 등 다른 업종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복합 서비스 제공.그 일부로서 서비스 모빌리티의 지속가능성 확보

 

5) 모빌리티 관련 데이터 취득

 

 - 모빌리티로부터 데이터를 취득, 가시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이동을 실현하는 등 도시정책에 대한 피드백 가능


4-2.PNG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