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도전과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신업성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4-22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국토교통성・경제산업성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추진 협의회는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에 대해 논의하고, ‘2단계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방향성’을 발표(’20.4.)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 추진협의회는 시범사업 실시지역 의견 조사를 통해 현재의 문제점과 새로운 모빌리티 서비스 방향 검토
- (모빌리티서비스 사업성) 화물 배송 등 지역서비스를 고려하고, 지역에 한정짓지 않고, 외부시장을 확보하여 사업성을 제고
- (인력부족) 지역 내 대형자동차 2종 면허 보유자가 10년간 20% 감소하여 노선버스, 택시기사 부족 현상이 심각하고, 황금노선 증편 불가능
- (기존 교통사업자와의 갈등) 현금 없는 결제서비스 도입 과정에서 고액 수수료 요구 및 택시회사간 통합으로 인한 배차시스템 앱 문제로 인한 문제 발생
- (교통실태조사의 한계) 설문조사 형식으로 교통 실태 데이터를 취득하고 있어, 이동수단까지 파악이 불가능
’19년 추진한 스마트 모빌리티 챌린지를 반영하여 새로운 서비스 실현을 위한 5대 과제를 제시
1) 다양한 이동 수요 효율성 제고
- 물류, 간병, 통원・통학 등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 수요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모빌리티 서비스의 수익성 제고
2) 지역 내 모빌리티 서비스 제공
- 상업・의료・행정 서비스 등을 유지하기 어려운 지역 내 서비스의 모빌리티화를 실현하여 주민에게 서비스 제공 실현
3) 수요 촉진 인센티브 제공
- 앱을 이용한 인센티브 부여 등으로 수요를 촉진시킴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 도시부 정체 해소 및 CO2 감축 등 실현
4) 타업종과의 연계를 통한 수익 활용・부가가치 창출
- 소매・관광・부동산 등 다른 업종과의 연계를 통해 새로운 복합 서비스 제공.그 일부로서 서비스 모빌리티의 지속가능성 확보
5) 모빌리티 관련 데이터 취득
- 모빌리티로부터 데이터를 취득, 가시화하여 보다 효율적인 이동을 실현하는 등 도시정책에 대한 피드백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