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빅데이터 혁신 정책 및 투자 추세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신화망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4-10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신화망은 ’2020년 중국 빅데이터 관련 정부 정책 추이와 투자 현황을 분석(’20.4.)
최근 중국은 스마트+ 제조업의 ‘양화융합’(兩化 공업화와 정보화의 융합) 기반으로 산업용 빅데이터 지원 정책을 강화하고 있음
- R&D부터 설계, 제조 및 공급까지 빅데이터 기술 개발에 착수하고 있으며, 빅데이터 수요와 공급을 연계를 핵심으로 추진
- 산업 빅데이터 기술 개발, 산업 응용 프로그램 및 표준화 프로세스, 산업 클라우드 빅데이터 및 기타 기술의 통합을 적극 촉진
- 빅 데이터 애플리케이션 프로젝트 추진 및 제조업 업그레이드 강화
’19년 빅데이터 시장 규모는 146.9억 위안으로 전년 대비 28.6% 증가했으며, 향후 3년간 규모는 250억 위안에 달할 전망
- ’22년에는 346.1억 위안으로 예상되며, 전통제조 산업 스마트화 전환을 위한 기술 향상을 지속적으로 추진
빅데이터 유형별로 보면, 산업용 앱(APP)은 기업의 기술 공유화, 조직화, 시스템화 촉진에 효과적이며, 시장과의 연계가 높게 나타남
- 기계 고장 예측・관리(PHM)는 장비의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로 모니터링 되어 상태 예측 및 보조운영이 가능해 짐
- 관련 맞춤형 기술은 대기업의 수요가 적은 편이므로, 현재 제한된 업종에서 기술 개발을 진행 중
빅데이터 분야의 투자는 대부분 Pre-A 라운드에 집중되어 있으나, 점차 B라운드 및 그 이후의 투자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 ‘19년 PRE-A 라운드부터 B라운드까지의 투자 비중이 60.8%를 차지하였고, 그 중 Pre-A 라운드 비중이 35%로 가장 높게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