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인공지능 혁신 정책 및 투자 현황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신화망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3-26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신화망은 2020년 중국 인공지능 정책 추이 및 투자 현황을 분석(’20.4.)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 정부는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시작으로 차세대 인공지능 개발 방향으로 혁신과 제도 환경의 최적화를 강조


 - ’193월 심화개혁 중앙위원회 7차 회의에서 <인공지능과 실물경제의 융합 촉진에 관한 지침> 통과


 - 기업의 혁신과 자율성을 독려하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 경제 구축


 -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건설하여 업계 내 선도기업의 선도적 시범 역할을 발휘


 - 인공지능 혁신발전 시범구를 개발하여, 스마트 사회를 시범적으로 전개

6-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 대표적 인공지능 기업으로 BAT(바이두, 알리바바, 텅쉰) 기업이 있으며, 특히 AI 반도체 영역을 확장해 오고 있음


 - ‘18바이두AI 칩을 출시하였고 1년 뒤에 바로 음성 상호작용 칩을 선보임


 - ’19년에 알리바바-핑터우거 반도체 회사AI 을 처음으로 출시하였고, 텅쉰이 투자한 수이원커지(燧原科技)클라우드 트레이닝 칩을 출시


 - 이와 같이 선두기업은 인터넷, 인공지능 기술 발전 이외에도 전통 기업의 인공지능 기술기업을 인수하고 직접 스마트 기술 도입하는데 주력



6-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9년 중국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489.3억 위안으로 27.5%의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향후 3년간 안정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


 - ’22년 중국 인공지능 시장 규모는 천 억 위안을 넘을 것으로 예상


 -’12년부터 인공지능 산업은 고속 성장하였으나, ‘19년에는 투자건수가 급격하게 하락하였으며, 분야별로 보면 소프트웨어 기술력 향상과 하드웨어 제품 보급화 중점적으로 투자하고 있음

6-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