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주요국 5G 추진현황과 시사점 원문보기 1

  • 국가 기타
  • 생성기관 연합뉴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3-26
  • 등록일 2020-05-08
  • 권호 166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5G 서비스) 첫 상용화('19.4) 이후 서비스 도입 국가가입자 수 지속 증가, 특히 중국 상용화('19.11) 이후 가파른 증가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가입자) 우리나라를 시작으로 미국유럽아시아 등 26개국에서 서비스를 개시한 가운데, 중국한국 서비스 가입자가 압도적


 - (국내) 세계 최초 5G 상용화(’19.4.3)에 성공한 우리나라는 577만 명이며 기지국은 약 11.5만 국(준공신고 기준) 수준('20.4.2 기준)


 - (글로벌) 중국의 5G 상용화(’19.11)로 세계 가입자가 급증하여 전 세계 가입자는 3,200만 명 수준으로 증가

1-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LTE와 비교) 국내 가입자는 LTE 도입시기와 비슷한 속도로 증가, 글로벌 측면에서도 중국의 조기 상용화로 빠르게 성장


 - (국내) 5G 가입자 증가세는 ‘19년 연말을 기점으로 둔화되는 추세로, LTE와 비교하여 초기 11개월간 가입자 비중은 다소 낮은 수준

  

  ※ 5G 가입자 증가율(전월대비, %) : (‘19.8) 46.2% (10) 14.9% (12) 7.2% (‘20.2) 8.1%


1-2.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글로벌) 중국이 5G시장 주도권 경쟁에 뛰어들면서 LTE와 비교하여 초반부터 빠른 속도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으며, ’205G 경쟁이 심화될 전망에 따라 지속적인 성장세 유지 예상


1-3.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5G 장비) 기술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기존 3(화웨이-에릭슨-노키아) 중심의 경쟁구도에서 5G로 옮겨지면서 새로운 전환 기회가 형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경쟁구도) 5G 통신장비는 미-중 무역갈등, 보안문제 대두, 신뢰성 저하*, 초기 기술력 부진 등으로 지각변동이 가시화

  

  * 미국은 에릭슨을 해외부패방지법 위반(뇌물죄)으로 106천만불 벌금 부과('19.12)


 -5G 통신장비 시장에서 화웨이는 19.2Q 이후 다시 세계 1위를 수성 이며, 삼성은 20% 이상으로 2위권


1-4.PNG

 


  

 - 한편, 5G 통신장비 시장 변화는 전체 통신장비에서 화웨이-에릭슨-노키아로 대표되는 기존 경쟁구도의 새로운 전환 촉발(삼성 5% 11%)



1-5.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장비수요) 5G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 되면서 글로벌 5G 상용망 설비투자가 급증*, 침체된 네트워크 장비시장의 수요자극 기대

   

  * 5G 설비투자 규모는 LTE 대비 1.7배 증가 전망(모건스탠리, '18)


 - 특히, 분리형 기지국 전환(고주파수를 사용하는 5G에서는 분리형 기지국으로써 스몰셀 필수), 급증하는 데이터 트래픽 충당 등 5G환경 구축과정에서 신규 장비수요(스몰셀모바일코어 등) 증가 예상


1-6.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5G 단말) 글로벌 모뎀칩 시장은 퀄컴이 압도적 우위를 점유하고 있으며, 5G폰 시장은 화웨이와 삼성이 1% 내외의 접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G모뎀칩) 5G 모뎀칩 생산 가능 업체는 퀄컴삼성화웨이미디어텍 전무한 상황으로 초기대응 성공여부에 따라 경쟁구도 변화 예상


 - 퀄컴(87.9%)이 대부분의 5G폰 제조업체*5G 모뎀칩을 공급하며 압도적 경쟁우위 확보 중이나, 삼성(7.5%)화웨이(2.0%)가 빠르게 추격 **(SA, ’19.4)

  

  * 퀄컴 5G칩 납품기업 : LG전자, 삼성전자(S20 포함), 소니모토로라샤오미 등

  

  ** 5G 모뎀칩은 삼성(엑시노스5100)이 갤럭시S10 5G에 탑재되며 최초 상용화에 성공, 화웨이도 발롱5000 공개 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G) 글로벌 5G폰 점유율은 중국이 5G 상용화를 추진하며 단말수요가 급증, 중국기업 점유율이 대폭 확대되며 화웨이가 1위 탈환(37.2%)


1-7.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5G 융합서비스) 초기시장인 5G 융합서비스(실감콘텐츠OTT )는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확산으로 언텍트가 일상화되면서 수요가 폭증, 새로운 전기 마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국내) ‘슬기로운 코로나 생활로 폭증하는 트래픽데이터를 충당할 수 있는 5G 가치를 체감하면서 5G 융합서비스 수요가 급속히 증가


 - 나아가, 5G가 디지털 기반 비대면 산업(비대면 거래, 원격의료, 온라인 교육, 화상회의* )의 비약적 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

  

  * 리모트미팅(알서포트), 비즈메카(KT), 콜라보X(신세계I&C) 등 화상화의 서비스시장 급성장

 

1-8.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미국) 통신사-제조사서비스 등 협력기반의 자율이동체 개발 준비가 활발*하며, 이종분야(금융콘텐츠 등)의 융합서비스 개발 추진**

 

  * (AT&T-우버) 5G 기반 전기 수직 이착륙항공기, 화물용 드론 파트너십 체결('19)

 

  ** (Verizon) 뉴욕 5G 금융랩, LA 실감콘텐츠랩 등 지역별 5G랩 운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유럽) 스마트팩토리자동차관광 강국의 이점을 활용,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VRAR 등 분야를 중심으로 서비스 개발 추진


 - 특히, 독일은 Industry 4.0을 제창한 선도국가로서 자동차 제조사를 중심으로 5G 기반의 스마트 팩토리 개발적용이 활발

  

  ※ <아우디> 에릭슨과 협업, 5G 스마트 팩토리 개발, 인간-생산로봇 간 상호작용 신규 프로젝트 추진(’20, 독일 가이머스하임 아우디 P-Lab), 차량 실제 조립 현장에 VRAR 기술을 활용한 애플리케이션 적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중국) 통신 3사 간 견고한 협력체계를 구축*, 스마트시티 분야**를 중심으로 5G 기반 융합서비스 구현확산 추진

  

  * 5G 협의체 'FuTURE 모바일통신포럼' 구성, 화웨이ZTE차이나텔레콤 참여 등

  

  ** 차이나모바일차이나텔레콤차이나유니콤 슝안신구 지역 스마트시티 건설 참여 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일본) 최근 5G 상용화('20.3)에 따라, 스마트공장, 디지털 헬스케어, 스마트시티 등 5G 융합서비스 개발의 본격화 예상

  

  ※ (NTT도코모) 스마트공장 : 5G 기반 완전 무선화, 헬스케어 : 5G 원격진료 실증, 스마트시티 : 5G 스마트 농업 솔루션 개발 추진(와이파이 5G 전환)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