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중소기업 R&D 프로그램 성과 측정 방법 제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정보기술혁신재단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04
- 등록일 2020-05-22
- 권호 167
정보기술혁신재단(ITIF)는 중소기업 R&D 프로그램 성과 측정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와 방법을 제안*(’20.5.)
* Solving the Surveyor’s Dilemma: Estimating Future Returns From Innovation Program Investments
기존 중소기업 혁신 프로그램* 평가시 조사시점까지 성과만을 대상으로 하는 한계점이 있어, 성과를 과소평가한다는 우려가 제기
* 중소기업혁신연구(SBIR)와 중소기업기술이전(STTR) 등 시장 실패를 극복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매년 30억 달러 지원하고 있으며, 퀄컴, 아이로봇, 일루미나 등 많
성공 사례를 창출
- 대상 기업이 지원기관에 투자 성과를 보고하지 않아 정부는 회계감사원(GAO)이 개발하고 국립학술원이 개선한 대규모 조사기법(wide-scale surveys)를 활용하여 투자 성과를 분석해 옴
- 이 방법은 시장화에 걸리는 시간이 길고 데이터의 부재로 상업화 규모와 범위 파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존재
이를 해결하고자 국방부의 위탁사업으로 추진된 테크넷(Technet)*의 새로운 데이터를 활용하여 정확한 성과를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
* IMPLAN 경제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00~’13년까지 중소기업혁신프로그램 2단계 사업에 참여한 7,216개 중 6,700여개의 연도별 매출액 자료를 수집
- 이 데이터를 활용하여 생애 주기에 걸친 성과의 중간값을 추정하면, 대상 프로젝트가 종료하지 않거나 시장에 진입하지 않은 경우에도 향후 매출액 추정치 도출이 가능
- 분석 결과, 정부 보조금 지급 시점이 오래 될수록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는데, 16년이 지난 프로젝트의 경우 3년이 지난 프로젝트 대비 매출액 평균 5배에 달함
- 제품 총 매출액 중 전통적 조사 방식에서 파악되지 않은 매출액의 비중은 보조금 지원 후 3년 차에 파악되지 않은 매출액이 약 72.8%로 추정
새로운 데이터를 통한 중소기업 프로그램 투자 수익률 추정치 기법으로 성과(ROI) 예상치가 15:1에서 22:1로 나타나 고용효과도 50%까지 높아질 것으로 예상
- 지원 기간에 따른 중소기업 프로젝트 매출액을 살펴보면, 지원 3년 후 17%에서, 13년 후 35%까지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추정한 결과, 기존 조사방식에서 누락된 매출액은 총 14억 달러(약 1조 7,000억원)으로 예상
- 새로운 조사 기법을 적용하면 기존 조사 방식에서 반영하지 못한 매출 성과가 생애 주기 총 매출액의 46%에 해당하는 145억 달러(17조 9,000억원)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