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새로운 지식기반계획 액션플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5-01
  • 등록일 2020-05-22
  • 권호 16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산하 위원회에서 새로운 지식기반계획의 방향성()등에 대해 논의하고 액션플랜을 발표(‘20.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일본은 20여년 동안 과학기술혁신창출 활성화법에 따라 제2기 지식기반 정비계획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계량표준, 미생물 유전자원, 지질 분야의 과제와

   대응 방안을 수립


1) 계량표준·계측


 ① 과제

 

 - 산업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NMIJ)가 지속적으로 해당분야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여 사회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

 

 - 양자표준 관련 연구개발 및 계측기기 개발, 디지털 기술 활용 정보화 추진, 계량표준·계측을 활용한 표준화, 인재육성 강화


대응방안

 

 - 품질평가 기술의 고도화로 바이오, 메디컬, 농림산업에 기여

 

 - 축전지 평가기술과 수소의 적정 기술 개발로 에너지 효율적 활용에 기여

 

 - 인프라 건전성 진단기술 개발로 지속가능


2) 미생물 유전 자원


과제

 

 - 국내·외적으로 건강, 식품, 환경, 자원·에너지 등 분야에서 바이오 경제사회의 실현과 사회문제 해결이 요구

 

 - ‘바이오전략 2019’에 따라 제품평가 기술기발기구는 보유한 9만개 미생물 유전자원을 중심으로 미생물 유전자원에 관한 안정성 등 정보 솔루션 도모


대응방안

 

 - 바이오×디지털의 추진을 통한 NITE가 보유한 미생물 유전자원 및 관련 정보 활용 확대

 

 - 산업계, 학계와 교차계약제도 마련, 인턴십을 활용하여 바이오와 디지털의 융합을 담당하는 바이오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육성

 

 - 생물 다양성 협약(카르타헤나 의정서, 나고야 의정서)에 대한 국제사회 요구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산업계에 대한 연계 강화


3) 지질정보


과제

 

 - 장기적으로 5만분의 1 지질도의 전국 정비를 핵심으로 해양, 연안, 도시지역의 지하, 화산, 활당층, 지하수 등 지질정부 정비 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계체제 구축


대응방안

 

 - 지속적 국토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중요지역에 대한 5만분의 1 지질도 정비

 

 - 일본 주변 해역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해양지질 정보 정비 및 정밀도가 높은 조사기술 확립



3-1.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