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새로운 지식기반계획 액션플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5-01
- 등록일 2020-05-22
- 권호 167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산하 위원회에서 「새로운 지식기반계획의 방향성(안)」등에 대해 논의하고 액션플랜을 발표(‘20.5.)
일본은 20여년 동안 ‘과학기술혁신창출 활성화법’에 따라 제2기 지식기반 정비계획을 추진해 오고 있으며, 이에 필요한 계량표준, 미생물 유전자원, 지질 분야의 과제와
대응 방안을 수립
1) 계량표준·계측
① 과제
- 산업종합연구소 계량표준종합센터(NMIJ)가 지속적으로 해당분야의 핵심 역할을 담당하여 사회의 요구에 신속하게 대응
- 양자표준 관련 연구개발 및 계측기기 개발, 디지털 기술 활용 정보화 추진, 계량표준·계측을 활용한 표준화, 인재육성 강화
② 대응방안
- 품질평가 기술의 고도화로 바이오, 메디컬, 농림산업에 기여
- 축전지 평가기술과 수소의 적정 기술 개발로 에너지 효율적 활용에 기여
- 인프라 건전성 진단기술 개발로 지속가능
2) 미생물 유전 자원
① 과제
- 국내·외적으로 건강, 식품, 환경, 자원·에너지 등 분야에서 바이오 경제사회의 실현과 사회문제 해결이 요구
- ‘바이오전략 2019’에 따라 제품평가 기술기발기구는 보유한 9만개 미생물 유전자원을 중심으로 미생물 유전자원에 관한 안정성 등 정보 솔루션 도모
② 대응방안
- 바이오×디지털의 추진을 통한 NITE가 보유한 미생물 유전자원 및 관련 정보 활용 확대
- 산업계, 학계와 교차계약제도 마련, 인턴십을 활용하여 바이오와 디지털의 융합을 담당하는 바이오계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육성
- 생물 다양성 협약(카르타헤나 의정서, 나고야 의정서)에 대한 국제사회 요구 변화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산업계에 대한 연계 강화
3) 지질정보
① 과제
- 장기적으로 5만분의 1 지질도의 전국 정비를 핵심으로 해양, 연안, 도시지역의 지하, 화산, 활당층, 지하수 등 지질정부 정비 후,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연계체제 구축
② 대응방안
- 지속적 국토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사회적 중요지역에 대한 5만분의 1 지질도 정비
- 일본 주변 해역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해양지질 정보 정비 및 정밀도가 높은 조사기술 확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