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드론 관련 제도 정비 및 활용 현황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NEDO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01
  • 등록일 2020-05-22
  • 권호 16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신에너지·산업기술종합기구(NEDO)는 중국 무인기(드론) 관련 정부계획 및 활용 현황을 조사(’20.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512월 민용항공국 경소형 무인기 운항규정(시행)관련 규정 발표 이후, 무인기 관련 계획수립 및 제도 정비가 급속히 추진

 

 - 공업신식화부는 '20년을 목표로 소비자용 무인기 기술로 세계 최고 유지세계적 영향력을 지닌 무인기 기업 2~5개 육성등을 추진 중

 

  ※ 무인기 관련 계획은 민용항공국과 공업신식화부가 서로 경쟁하듯 제정하고 있으나, 양 부처의 연계는 미흡한 편임

5-3.PNG




- 중국 무인기 비행관리 및 기체 제도 관련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음


5-1.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1512경소형 무인기운항규정시행)」 관련 무인기 비행을 관리하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규정되어 여러 사업자가 참여 중

 

 - 중국항공기파일럿협회(AOPA), DJI, 靑島雲世紀, 지페이(極飛科技)

 

 - ’17민간 무인항공기 시험 비행 운영기지가 상하이에 개설

  

  * 비행공역은 2002비행고도 150m 이하로 무인기 클라우드로 AOPAU-Cloud 이용

 

 - ’17년 말 선양에 비행시험장이 개설되어 비행 공역 30002 , 활주로 등 정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산업용 무인기는 식물보호(농업), 전력설비 감시(고압송전검사), 방범검사에서 주로 활용

 

 (1) 식물보호

 

  - 각 성별 농업 자동화가 활발하게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푸젠성의 경우, 농업용 무인기에 1/3의 보조금을 지급

 

  - 농업용 무인기 제조업체 지광과기(極光科技)전체 시장 점유율이 50%에 달하며, 지금까지 5만대의 농업용 무인기를 판매

 

 (2) 전력설비 감시

 

  - 국가전망(国家電網)과 남방전망(南方電網)이 주도하고, ’09년부터 고압 송전 설비의 감시에 무인기를 활용

 

  - 국가전망은 무인기 전력선 감시 사내 표준을 정비하는 등 작업 표준화에 활용

      

    * 철탑 1개 순찰에 인력이 투입되면 1~2시간이 걸리나, 무인기는 5~20분으로 단축


5-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