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제조업 회복을 위한 추진과제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01
- 등록일 2020-05-22
- 권호 167
세계경제포럼(WEF)는 코로나19(COVID-19) 바이러스 확산이 글로벌 공급사슬에 미치는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한 이니셔티브와 핵심 추진과제를 제시*(’20.5.)
* How to rebound stronger from COIVD-19: Resilence in manufacturing and Supply systems
최근 코로나 바이러스 사태로 인한 제조업 복원에 있어 기업 현장에서는 비즈니스의 연속성 확보 및 탄력성 향상이 핵심이슈로 도출*
※ 다양한 산업에 종사하는 고위급 경영진(약 400명)을 대상으로 관련 설문조사 추진
- 국가 간 글로벌 무역의 상호의존도가 높아, 코로나19가 글로벌 제조산업에 미친 영향은 약 75%로 예상
- 설문 결과, 가장 우선적으로 대응조치는 직원 보호*, 공급지원 보장**, 재무 영향 완화, 수요 감소에 따른 시장 탐색 등으로 답변
* 코로나 보호 장비 및 보호복 착용 지시(51%), 정신 건강을 위한 지원(47%), 작업장 내 직원간 접촉 제한(46%), 재택근무실시(40%) 순으로 응답
** 특정 요소에 대한 위험 분석지원(53%), 구매보장(49%), 대금 선급(46%) 등 공급업체와의 긴밀한 협력 유지에 노력
조사 기업은 코로나 사태로 인한 제조 및 공급 시스템 위기의 회복과 탄력성 향상을 위해 5가지 주요영역에 집중
- (전체 공급사슬 재설정) 우선순위 사업은 자체조달로 진행하고 현지 공급자 및 제조역량 활용
- (첨단 제조기술 투자 확대) 대량의 데이터 수집과 AI, 알고리즘 분석으로 의사결정, 기술 예측·생산 및 자동화 프로세스 구축
- (위험관리가능 제조시스템) 변화 및 위험관리에 민첩 대응, 유연한 사고방식 확립, 분산화된 업무환경(원격근무)
- (기업간 새로운 협력모델) 공급자 간 견고한 신뢰관계 형성, 전략적 파트너십 마련, 적극적 M&A 추진
- (제품 포트폴리오 검토) 고객의 수요 및 선호변화에 맞는 포트폴리오 재조정
잠재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글로벌 가치사슬에서 수행해야 하는 5대 핵심 과제 제시
① 고객행동을 기반으로 하는 제조・공급시스템 변화 및 개선
- 수요 데이터 원천 확보 및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수요 감지 역량 강화
② 첨단기술을 활용한 제조・공급시스템 마련
- 로보틱스・자동화 기술을 통해 생산라인의 유연화 증대와 제조 지역에 따른 제품 전환 프로세스 단순화
③ 유통시스템 조정·최적화
- 디지털 기술을 통한 물류시스템의 가시성 증대와 블록체인을 통한 통관 수속 간소화로 수요-공급을 연결하는 유통시스템의 최적화
④ 새로운 업무·관리 방식 도입
- 원격근무에 대한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AR·VR 기술 도입
⑤ 이슈 및 도전과제 해결을 위한 민관 협력과 파트너십 공유
- 민관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신기술에 대한 규제 이슈와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