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차세대 소재 혁신 전략’ 논의…AI·IoT 접목해 혁신창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4-30
  • 등록일 2020-05-22
  • 권호 16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전통의 소재 강국 일본, 범정부 차원의 소재혁신역량 강화전략 추진 본격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개요) 경제산업성·문무과학성 등은 제1소재 혁신 역량 강화 전략수립을 위한 준비회의를 개최(4.27)하며 그 간의 논의 내용과 향후 계획을 정리·공개


 - 지난 2.10일 일본 정부가 소재 혁신 역량 강화 방안을 구체적이고 폭넓게 검토할 수 있는 태스크포스(TF) ‘소재 혁신 강화 준비 회의를 발족

  

  ※ 정부 부처뿐만 아니라 일본 주요 기업(교세라·히타치·TDK )과 대학(도쿄대·도호쿠대·오사카대 등)이 참여한 산··연 연합조직으로 TF 운영 기간은 ’20.12.31일까지


 - 4.27일 제 1차 회의를 개최하고 ’19년 과학기술기본계획에서 제시(’19.10)한 일본 산업과 혁신의 바탕이 되는 소재 혁신 전략의 기본적 사안을 논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추진 배경) 일본이 강점을 지닌 소재 분야에서 AI 등 첨단기술을 접목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하고 글로벌 주요국 추격에 대응하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


 -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일본 정부는 AI·IoT 등 첨단기술을 모든 산업과 생활에 연결하는 소사이어티(Society 5.0) 사회를 청사진으로 제시


 - 이를 실현하기 위해 모든 산업의 기초인 소재 부문부터 혁신을 추진하여 전체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복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일본의 소재 분야 잠재력과 기술력을 실현하기 위한 정책 방향성 구체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주요 내용) 혁신창출을 견인하는 소재 기술의 중점 영역을 선정·육성 잠재력 있는 소재 연구개발 인프라 조성 연구개발 효율화·고속화·고도화를 실현하는 생산성 향상 소재 기술 강화에 필요한 시책 추진


 -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인프라를 기반으로 인재와 투자 노하우가 축적되어 있는 일본의 소재 기술은 높은 수출 경쟁력을 강점으로 투자 대비 효과가 크고 혁신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


 - 일본의 우수한 소재 기술 연구자를 적극 활용하여 융합을 촉진하고 혁신창출을 주도할 수 있는 정부의 일원화된 전략 강조


 - 또한 본격적인 소재 기술 제고를 위해 대학·국립연구소·기업의 연구활동을 종합적으로 고려·검토해 관계 부처가 유기적 정책을 실시해 나간다는 방침


 - 나아가 글로벌 산업 지형과 첨단기술 상용화 사례 등을 분석하는 한편 자국 경쟁력 극대화 방안을 집중 모색해 나갈 계획



6-1%EA%B7%B8%EB%A6%BC%20%EB%8B%A4%EC%8B%9C.PN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글로벌 주요국에서도 소재 기술 중요성을 인지하고 전략적 행보 강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미국·유럽·중국·한국 등 국가도 일찍이 소재 기술력 강화를 위한 전략을 마련한 가운데 최근 4차 산업혁명중요성이 증대되면서 투자를 대대적으로 확대하는 분위기



%EA%B7%B8%EB%A6%BC6-2%EB%8B%A4%EC%8B%9C.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