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소재기술 혁신을 위한 추진방향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5-15
- 등록일 2020-06-05
- 권호 168
문부과학성 소재기술 전략 준비회의는 포스트 코로나 이후의 재료혁명의 미래상 및 추진 방향에 대한 전략을 논의(’20.5.)
‘코로나 19’ 사태 확대로 전 세계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침에 따라 일본의 수축 산업을 뒷받침하고 있는 소재기술의 혁신력이 더욱 중요한 시점임
- ’20년 2월부터 문부과학성과 경제산업성은 소재산업의 위기에 직면하여 소재 혁신을 위한 비공식적 검토에 착수
- ‘20년 4월 ‘소재혁신 강화를 위한 전략수립 준비회의’를 설치하고 ‘통합혁신전략 2020’ 및 ‘6기 과학기술기본계획’을 고려하여 향후 방향성 등을 논의
< 소재기술 혁신을 위한 미래상 > ∙ (산업) 고도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공급망에서 중요한 재료를 일본에서 공급하여 국제시장에서 높은 경쟁력과 신뢰 확보 ∙ (기초) 국내·외 뛰어난 연구자를 보유한 세계적 연구혁신 거점 창출 ∙ (융합) 대학·벤처에서 창출된 재료 관련 지식을 통해 AI, 바이오, 양자, 환경 등 중요 정부 전략 실현 속도 가속화 |
이를 바탕으로 데이터 기반 소재 R&D 플랫폼 정비, 소재기술 실용화, 소재혁신 생태계 구축, 인재 육성・확보 등을 제안
1) 데이터 기반 소재 R&D 플랫폼 정비
* 고품질 소재데이터를 수집・축적・유통・활용함과 동시에 산학관에서 효율적으로 창출 및 공용화되기 위한 플랫폼 정비
- 산학관 공통의 데이터 구조(데이터 포맷 포함) 개발 및 데이터 유통 수출 관리 등 규정 정비
- 오픈데이터를 대상으로 안전한 환경하에 소재 데이터 구조를 축적・관리하는 물질재료연구기구(NIMS) 등 혁심거점 국립연구개발법인 대상 신속한 정비
- 소재개발에 필수적인 다양한 소재 데이터 구조를 창출하는 ‘소재DX 플랫폼(가칭)’ 정비
2) 중요한 소재기술 개발 및 실용화 추진
* 산학연 관계자간 시스템화를 통해 소재혁신이 큰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미래사회 모습 공유
- 고도의 디바이스 기능 발현을 가능하게 하는 소재(파워 일렉트로닉스, MEMS, 세라믹, 빛이나 열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부자재, IoT 센서 액츄에이터 등), 양자・전자제어로 혁신적 기능을 발현하는 소재, 소재 고도 순환 기술, 차세대 바이오 소재, 차세대고분자 소재 등 주요 실용화 분야 기술 개발
3) 소재 혁신 벤처생태계 구축
- 벤처기업 등 새로운 혁신 주체가 지속적으로 창출될 수 있는 혁신 에코시스템 구축
- 소재 기술을 강화하기 위한 거점 구축 및 연구개발에 시간이 소요되는 소재 벤처 기업 창출
4) 인재육성 및 확보
- 소재 DX 플랫폼(가칭)을 통하여 데이터 구조의 설계가 가능한 데이터 전문 인재, 소재 연구개발이 가능한 연구자 육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