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인공지능 분야 기업 경쟁 구조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국해증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04
- 등록일 2020-06-05
- 권호 168
중국 국해증권은 「스마트 경제 : 인공지능 시대의 경제성장, 산업구도와 대국 게임」 보고서를 발표(’20.5.)
* 전체 내용 중 인공지능 시장부문에 핵심 이슈에 대한 기업의 적용 사례 등을 정리
기업은 자체적으로 인공지능의 알고리즘을 최적화하여 제공하거나 인공지능 전문업체와의 아웃소싱을 통해 알고리즘을 구축
- 인공지능 기술을 이용해 중국 진르터우탸오(今日头条)는 맞춤형 뉴스를 제공하고, 타오바오(淘宝)는 맞춤형 상품을 제공하여 정확한 마케팅을 보급
- 중국핑안(中国平安)의 ‘스마트 신속 처리(智能闪赔)’는 자동차 보험 가입후에 고객이 휴대폰으로 동영상을 찍어 전송하면 즉시 배상 서비스를 처리
- 드론을 생산하는 DJI(大疆创新)과 전기차를 생산하는 테슬라가 대표적
- 하이얼은 해외 유학파 여러 명이 설립한 스타트업 기업 아이투링(爱图瓴)에 투자해 자사 스마트 냉장고를 위해 이미지 인식 시스템을 구축
인공지능 공급업체의 시장구조는 클라우드 서비스업체와 특정 분야의 수직적 공급업체로 구성
- 인공지능 알고리즘 공급시장 차원에서 메이저 기업으로 아마존, 알리바바, 징둥 등이 통용 플랫폼임
- 대량 기초 데이터를 보유한 바이두의 클라우드 서비스는 현재 중국 시장 내 독서앱의 70%이상 음성기술에 적용되어 활용
- 알리바바는 자체 과학기술 우위를 활용해 의료건강 분야 인공지능을 배치
인공지능 분야의 독과점 기업이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중국 시장 내 외국기업의 진출이 어려운 이유로 미・중간의 갈등이 더 높아질 전망
- 중국은 인터넷 플러스 전략을 통해 인터넷 경제가 급부상하였으며, 특히 데이터 확보 면에서 비교 우위를 확보한 반면, 미국은 다양한 영역에서 기술 혁신자와 선두자를 보유
- 현재까지 미국이 가장 선두에 있으며, 그 뒤를 중국이 바짝 추격하고 있는 한편, 타 국가들과는 아직 큰 격차가 존재
향후 효과적인 데이터 공유, 건전한 경쟁, 국가 안보 유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포괄적인 규제 시스템 정책 마련이 필요
- 올해 「중공중앙 국무원의 더욱 개선된 요소 시장화 배치 체제와 메커니즘 구축 방안」을 발표하고, 산업협회상회의 역할을 발휘해 인공지능, 웨어러블장비, 커넥티드카, 사물인터넷 등 분야에서 데이터 수집 표준화 추진을 제시
- 「네트워트 안전법」에서 핵심 정보 인프라의 운영자가 중국 내에서 운영하면서 수집 및 생성한 개인 정보와 중요 데이터를 중국 내에 저장해야 한다고 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