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TSMC, 美에 생산거점 마련…화웨이 제재강화 맞물려 업계 촉각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U.S. Department of Commerce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15
  • 등록일 2020-06-05
  • 권호 16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세계 최대 파운드리 회사 ‘TSMC’, 미국 애리조나에 생산 공장 설립 예정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애플퀄컴 등에 반도체를 납품하는 세계 최대 반도체 위탁생산 업체인 대만 TSMC는 미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미국 애리조나에 최첨단 반도체 공장을 설립 계획 발표(5.14)

 

  ※ TSMC는 세계 파운드리 시장에서 압도적 선두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으로 애플퀄컴엔비디아 등 많은 미국기업이 TSMC에 반도체 생산을 주문


2-1.PNG


 - 국 연방정부와 애리조나 주정부가 모두 참여하는 이번 공장 설립은 ’21착공하여 ’24년부터 제품을 양산할 계획이며 한 달에 2만 장의 웨이퍼를 생산하는 것이 목표


 - TSMC가 미국 공장에서 생산할 제품은 스마트폰과 5G 이동통신 장비 등에 들어가는 ‘5나노미터() 트랜지스터반도체 칩

  

  ※ ‘5나노미터() 트랜지스터는 현재 반도체업계에서 가장 미세한 공정의 제품으로 가장 빠르고 에너지 효율도 최고 높은 제품


 - 번 공장 설립으로 고급인력 고용 효과가 1,600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간접적으로 수천 개 일자리를 창출하여 미국 내 반도체 생태계를 조성할 것으로 전망


 - 특히 미국에 초미세 공정이 가능한 팹(실리콘웨이퍼 제조 공장)이 들어서면 퀄컴, AMD 등 미국 주요 반도체 회사 밀착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업 확장의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앞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대만중국한국 등 아시아 국가에 대한 미국 반도체 제조 의존도를 줄이기 위하여 TSMC의 미국 공장 건설을 적극 추진


 - 미국 정부는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첨단 산업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의 안정적인 공급사슬이 붕괴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내며 자국 내 반도체 생산의 필요성 강조


 - TSMC는 워싱턴주에서 소규모 공장을 가동할 뿐 주로 대만 생산 기조를 유지했지만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첨단 산업의 핵심 부품인 반도체의 아시아 공급망이 무너질 위기에 처하자 미국 공장 설립 추진을 급격히 진전시킨 것으로 풀이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반도체 굴기 겨냥해 제재 조치 강화한 미국TSMC 등 업계 행보 촉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미국 상무부는 자국 반도체 관련 기술을 일부라도 사용하는 기업이 특정 제품을 화웨이에 공급하려면 반드시 미 정부 승인을 받도록 하는 새로운 규정 발표(5.1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이후 TSMC가 화웨이로부터 신규 주문을 중단할 것이라는 뉴스가 전해지는 등 미국의 새로운 규제가 반도체 업계 미치는 영향에 이목 집중

 

  ※ 이에 대해 TSMC는 공식적 언급 자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화웨이는 그동안 미국이 자국 기업 퀄컴의 통신반도체 공급을 제한해도 TSMC를 통해 반도체를 조달 받아와서 TSMC로부터의 공급물량이 차단될 경우 리스크 불가피


 - 화웨이는 신형 스마트폰의 핵심 반도체 제조 대부분을 TSMC가 담당했으며 TSMC 역시 전체 매출에서 화웨이 비중이 높기 때문에 TSMC가 화웨이 공급을 중단할 경우 양사 모두 영향 예상


 - 웨이는 TSMC를 대체할 공급로 확보를 위해 자국 파운드리 업체인 SMIC로부터 공급받고 한국과 다른 대만 반도체 업체도 물색할 것으로 예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한편 중국 정부는 화웨이의 반도체 공급 차질을 우려해 자국 반도체 기업인 SMIC 주식발행 작업에 참여하며 225,000만 달러를 투자(5.15)하는 등 반도체 굴기에 속도

 

  ※ SMIC는 상하이 증권시장에서 주식발행을 통한 30억 달러 이상 자금 조달 계획 중


 - 자금조달 후 SMIC의 등록 자본은 기존 35억 달러에서 65억 달러로 늘어났으며 달에 6,000개의 14나노 칩을 생산할 수 있던 생산능력이 35,000개 수준으로 향상


 - 또한 정부의 지원을 받아 금년 설비투자액(CAPEX)을 기존 전망치 대비 34% 늘린 43억 달러로 집행했으며 공장 확대와 신기술 개발에 투입할 계획


 - 중국 각 지방정부는 SMIC의 본사인 상하이를 비롯한 중국 9개 공장에 보조금과 세제혜택을 제공하며 자국 팹리스(반도체 설계전문)의 안정적 물량 확보에 주력


 - 한편, 중국 정부는 금년 반도체 자급률을 40%로 높이고 ’25년에는 70%까지 끌어올릴 계획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미중 반도체 무역갈등 재고조국내 반도체 업체 긴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미국 정부가 화웨이에 대한 반도체 공급을 차단하는 초강력 제재에 나서면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시장에서도 다양한 전망 제기


 - 화웨이의 스마트폰 생산이 위축되면 국내 반도체 업체의 화웨이 매출 역시 일정부분 타격을 받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중국 반도체 굴기의 한 축인 화웨이의 반도체 개발이 어려워짐에 따라 국내업계 반사이익도 가능


- 특히 미국의 이번 수출 제한 조치는 비메모리 반도체(칩설계, 위탁생산)에 초점을 맞춘 것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업체에 직접적인 영향은 낮을 것으로 예측


- 하지만 미국이 메모리 반도체인 D램과 낸드플래시 수출까지 규제할 경우 국내 메모리 업계도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전망


- 일각에서는 글로벌 D, 낸드플래시 시장 점유율 3, 4위를 차지하고 있는 마이크론이 미국 업체인 만큼 미국 정부의 메모리 반도체에 대한 압박 가능성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관측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