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5G 공급망 혁신 위해 협의체 출범…삼성전자 합류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Open Ran Policy Coalition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05
  • 등록일 2020-06-05
  • 권호 16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차세대 통신 발전 위한 ‘Open RAN(Radio Access Network) Policy Coalition’ 발족(5.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이 협의체는 오픈 인터페이스를 표준화하고 개발하는 정책적 지원 방안을 다각적으로 추진하여 서로 다른 사업자 간 상호 운용성과 보안을 보장한다는 것이 주된 

   목적


- 서로 다른 업체의 네트워크 장비와 기술 등을 사용해도 네트워크 운영을 원활하게 할 수 있으며 비상사태 등 글로벌 시장 변수에 유연하게 대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코로나19 전염병이 세계 경제와 산업에 타격을 가하면서 네트워크 과부하 등 글로벌 통신망도 영향권

화웨이를 겨냥한 미국의 고강도 제재압박이 이어지면서 글로벌 주요국은 화웨이 장비를 배제하거나 제한적 선택을 하는 등 장비 선정 문제 이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개방형 상호호환형 솔루션 채택 촉진으로 혁신 창출, 경쟁 활성화 및 공급망 확대를 도모하기 위해 정책 입안자가 이행해야할 다양한 역할 제시


- 개방적이고 상호운용 가능한 무선 기술의 글로벌 개발 지원 개방적이고 상호운용 가능한 솔루션에 대한 정부 지원 공급업체 다양성 지원을 위한 정부조달 

  사용 연구개발 펀드 조성 5G 시장 장벽 제거 과도한 규제나 관행의 솔루션 지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글로벌 통신 사업자, 네트워크 HWSW 공급업체 등 31 기술회사가 협력 구성원으로 참여한 가운데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전자 포함


- 협의체 구성원들은 RAN의 다양한 하위 구성 요소(라디오HWSW) 사이의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를 개방하여 모듈화된 설계로 네트워크를 배포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노력할 계획


- 이 같은 개방형 인터페이스와 네트워크는 여러 사업자 간 상호 운용성을 보장하고 새로운 사업자의 진입 장벽을 낮추는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특히 창립멤버로 합류한 삼성전자는 5G 공급망 상호 운용성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히면서 향후 5G 장비 시장 점유율 향상에도 긍정적 요인이 될 전망


- 미국 정부가 ‘Open RAN Policy Coalition’을 지원하고 있어 5G 장비 경쟁업체인 화웨이에릭슨에 앞서 선제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5G 특허 시장에서도 삼성전자LG전자 행보 두각, 화웨이ZTE 등과 경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독일 베를린대학교 지적재산권(IP) 조사업체인 아이플리틱스(IPlytics)가 지난 1월 발표한 ‘5G 표준 특허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기업의 5G 특허 출원 행보 활발


- (삼성전자) 미국특허상표청(USPTO)유럽특허청(EPO)특허협력조약(Patent Cooperation Treaty) 중 최소 한 곳 이상에 제출한 5G 특허 출원 2,633, 등록 완료 5G 특허

  는 1,728건으로 1위 차지

  

  ※ 끊임없이 5G 기술 혁신을 통해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었으며 향후 5G를 포함한 차세대 통신기술 발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언급(삼성전자 뉴스룸, 4.20)


- (화웨이) 5G 특허 출원은 2,342, 등록을 완료한 5G 특허는 1,274건으로 4위를 차지했으나 패밀리 특허 부문에서는 3,147건으로 1위 기록

  

  ※ 패밀리 특허: 자국출원(원 출원)을 기초로 하여 해외 여러 나라에 출원하는 경우, 원 출원과 관련된 모든 특허 및 출원


- LG전자도 패밀리특허 2,300, 특허 출원 2,236, 등록 완료 1,415건으로 상위권에 랭크된 가운데 노키아에릭슨퀄컴 등도 특허 강자로 포진

 

4-1.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