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AI 스피커 시장, 지속 성장 속 미국・중국 기업이 압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애플경제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5-20
  • 등록일 2020-06-05
  • 권호 168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201분기 세계 AI 스피커 시장, 전년대비 8.2% 성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코로나19 영향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증가하고 사회 곳곳에서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면서 AI 스피커 시장 성장을 견인


- SA에 따르면 ’201분기 글로벌 AI 스피커 출하량은 2,820만 대에 달하며 전년대비 8.2% 성장률 기록(5.13)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미국 및 중국 6개 기업 점유율이 86.3%에 달하며 사실상 세계 시장 주도


 - 업체별로는 아마존이 출하량 660만 대, 시장점유율 23.5%1위를 차지한 가운데 구글이 550만 대, 19.5% 점유율로 2위 차지


 - 35위는 바이두알리바바샤오미 순으로 시장점유율은 각각 14.6%12.6%11.3% 기록, ’19년 시장점유율 15.7%, 14.0%, 13.0% 대비 다소 위축

  

  ※ 이들 3개 기업 출하량은 바이두만 동일 수준을 유지한 가운데 알리바바샤오미는 각각 -3%, -6% 기록


 - 애플은 출하량 140만 대, 시장점유율 4.9%6위에 랭크


- 결론적으로 아마존구글애플의 시장점유율은 47.7%’1943.7%대비 4.0%p 상승한 반면 중국 기업(바이두알리바바샤오미)38.5%’19 42.7%대비 소폭 

  하락


- 비록 중국 기업의 시장점유율이 다소 감소했지만 AI 기술과 콘텐츠 생태계를 강점으로 중국 시장 우위를 확보하며 빠르게 성장했다는 분석


5-1.PNG


- 알리바바는 향후 홈 네트워킹에서 AI 스피커가 핵심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며 AI 스피커 티몰 지니를 중심으로 한 AIIoT 시스템에 14억 달러 투자 발표

  (5.2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국내 AI 스피커 시장노인 돌봄 서비스 효과 등으로 활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사회적으로 계속되는 외출 자제와 격리 생활로 불안우울감을 느끼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정보 검색, 대화 상대, 치료 극복, 심리적 안정화 등 역할을 수행하는 AI 

   스피커 인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특히 ’16.9누구를 출시하며 국내 AI 스피커 시장 포문을 연 SK텔레콤은 최근 코로나19에 대응해 전문 요양기관, 사회적 기업과 협약을 체결(4.22)하며 노인 복

   지 서비스 확대

 

  ※ ’194월 시작한 누구’ AI 돌봄 서비스는 ’20.2월 기준 독거노인 670명 대상 조사결과 매일 사용’ 73.6% 포함 95% 이상이 일주일에 3회 이상 이용


 - 이번 협약을 계기로 독거노인 고독감을 줄이고 위급상황 시에는 119로 연계해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는 등 사회취약계층인 독거노인 사회안전망 역할로 자리매김한다는 전략


 - 나아가 AI 돌봄에 전문 요양기관의 현장 노하우와 전문지식을 접목해 노인 돌봄 공백을 최소화하고 AIIoT 등 첨단 ICT를 활용한 5G 시대 맞춤형 시니어 케어 서비스를 개발한다는 구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한편 카카오는 코로나19 사태로 피해가 큰 대구를 비롯해 성남제주의 노인장애인어린이 시설에 카카오미니를 대량 기증


 - 멜론다음뉴스카카오톡카카오택시내비게이션 등을 연동해 다양한 콘텐츠와 서비스를 보유한 카카오미니를 활용해 각 지자체 필요 시설에서 유용하게 활용 기대


5-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