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미국 첨단제조 프로그램 현황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로봇혁명이니셔티브협의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6-04
- 등록일 2020-06-19
- 권호 169
일본 로봇혁명이니셔티브협의회는 미국 첨단제조 관련 현지 방문 조사보고서를 발표 (‘20.6.)
미국은 ’10년 초 제조업 혁명 이니셔티브로 첨단 제조 프로그램을 추진하기 시작하였으며, ‘11년 오바마 대통령은 첨단제조 파트너십(AMP*) 계획을 발표
* 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
- 첨단제조업의 활성화 및 산학관 연계로 고용 창출을 목적으로 한 10년 계획으로 관련 예산은 국방부, 에너지부, 상무부가 공모하는 프로젝트를 통해 국립연구소, 연구기관, 학술계, 산업계에 배분
- 연구분야는 대통령 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에서 백악관에 제안하고, 각 부처 예산안을 의회에 제출한후 의회가 예산안을 심의・수정
※ AMNPO는 DOC산하 NIST내에 사무실을 두고 있으며, 제조기업과 대학, 제조업 관련 미국 연방기구의 대표 및 전문가로 구성
- ‘19년 9월 백악관이 제시한 ’21년 R&D 예산 우선순위 5개 분야 중 ‘미래 산업지원’에 AI, 첨단제조, 양자정보과학이 포함
첨단 제조 국가프로그램 사무국(AMNPO)은 15개의 Manufacturing USA 연구소를 운영
- 연구소 참여단체는 1,937개, 제조업체수는 1229개로 대기업이 371개, 중소기업이 858개, 프로젝트 수가 476개에 달함(‘18년 현재 기준)
- 예산은 연간 약 4.97억 달러로, 그중 약 1.64억원이 연방정부 자금에 해당
- 첨단제조 사무국(AMO)가 주도하는 프로젝트는 조사연구, R&D 컨소시엄, 기술 파트너십 등 3가지로 분류
공동연구개발 계약(CRADA), 전략적 파트너십 프로젝트(SPP), 연방보조금을 활용하여 산업계와의 제휴를 향상
- 국립연구소와 산업계사 공동으로 부담하여 에너지부(DOE)가 승인한 프로젝트에 대해 시간과 자원을 협력하여 개발
- SPP에서는 국립연구소와 산업계 모두 공동으로 프로젝트 계획 및 연구 범위를 결정하고, DOE가 국립연구소의 자원 사용 허용
- 국립연구소와 산업계 연계를 위해 연방연구조성금을 지급하고, 이는 DOE가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