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미래 수요로부터 가치 창출을 위한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5-29
  • 등록일 2020-06-19
  • 권호 169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경제산업성 산업구조심의회 연구개발혁신 소위원회는 미래 수요로부터 가치 창조에 관한 중간보고서를 발표 (’20.5.)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전 세계가 코로나 바이러스의 확산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이때, 장기적 관점에서 미래 수요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 창출이 필요


  -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고, 기업을 중심으로 한 대학 및 정부 추진 방향 제시

 

1) 미래 가치창조 실현


 - 혁신 창출을 위한 경영체제 정비 : 혁신관리시스템 지침 표준(ISO 56002) 및 지침서인 일본 기업 가치창조 경영에 관한 행동지침활용


 - 산학협력 지침 개정, JOIC(오픈이노베이션벤처창조협의회) 연계를 논의하는 장 설치, 기술연구조합(CIP)설립 및 운영 간소화


 - 스타트업 정책 패키지 일괄 추진 및 사이버 물리시스템을 목표로 신사업 창출

 

2) 산업기술 비전 구축


 - 혁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타트업 에코시스템 마련, 인재유동화외국 고급인력 유치, 여성인력 활용, 교육시스템 재검토

  

  * ‘50년 글로벌 메가트렌드로 세계 인구, 자원 환경 제약, 디지털 경제 전환, 보호주의 리스크 증대, 자연재해 및 감염증 대응 등을

    전망


 - 중점 기술로는 IoT 등 디지털 테크놀로지, AI, 로보틱스, 센싱, XR, 브레인 머신인터페이스, 기계번역, 생명공학, 소재 기술,

   ​에너지 환경 기술 제시

 

3) 기업 연구역량 강화


 - 기업 연구 역량 향상을 위해 최신 디지털 기술이나 데이터 사이언스 등 전문 연구 분야 외의 전문지식 습득을 위한 재교육 기회 강화


 - 연구개발 현장에서 근로방식 개혁 추진과 함께 디지털 기술이나 데이터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환경 정비


 - 국내에서 유지할 필요가 높은 중요 기술에 대해 국립연구개발법인으로 기술 이관 등 고려

  

  * 산업기술비전을 바탕으로 NEDO 기술전략연구센터(TSC) 등을 활용하여 중요 기술을 명확히 하고, 기업 수요를 파악하여 필요한

   조치 검토 추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정부, 기업, 대학국립연구개발법인 등 각 주체별로 오픈 이노베이션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 정비 제안


1) 정부


- 가이드라인 수립 등을 통한 기술연구조합(CIP) 활용 확대, 연구개발 세제 재검토 및 산학협력 인센티브 제고, 생명공학 등

  주요 분야 내 기업간 데이터 연계를 위한 데이터 플랫폼 확충


 - 대기업과 스타트업 계약 적정화, JOIC를 통한 범부처 지원플랫폼 강화

 

2) 기업


 - ‘일본 기업의 가치창조 관리에 관한 행동지침을 바탕으로 이노베이션 경영 강화 필요


 - 기업의 수요를 대학에 전달하여 혁신 인재 확보 및 유동화 촉진


 - 사이버 시스템물리적 공간을 고려한 신사업 창출 및 사업 재구성에서 아키텍처 설계 강화

 

3) 대학국립연구개발법인


 - 일본의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은 공동 사업화의 파트너로 기업이 선정될 수 있도록 지원


 - 대학은 산업계와 공동으로 커리큘럼 재검토, 분야간 수급 불일치 해소


4.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