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사물의 눈 (Eye of Things, EoT)’ 프로젝트 개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5-01-12
  • 등록일 2015-02-09
  • 권호 40

EU는 모든 종류의 이동통신기기에 활용할 수 있는 컴퓨터 영상 및 시각화 플랫폼개발을 목표로 ‘사물의 눈(Eyes

   of Things, EoT)’ 프로젝트 개시(2015.1.12)


○ Horizon 2020의 ICT 부문 프로젝트로, 2015년 1월 27일부터 3년간 370만 유로를 투자할 계획


  ※ 프로젝트 참여국가 : 독일, 프랑스, 포르투갈, 스페인, 스위스, 아일랜드, 오스트리아

□ EoT 프로젝트 주요내용


○ 시각은 가장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센서로, 현실 세계 및 생활 속에서 다양한 정보 수집이 가능하여, 웨어러블 기기,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감시 카메라, 로봇 등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 가능


   *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의 한 분야로 실제 환경에 가상 사물이나 정보를 합성하여 원래 환경에 존재하는 사물처럼 보이도록

      하는 컴퓨터 그래픽 기법


○ 이 연구는 빠르게 발전중인 인공 시각기술을 시장에서 개별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영상이동장치에 탑재하여 “모든 곳에 눈

    (eyes everywhere)”을 장착하는 것이 목표


○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고 영상 어플리케이션의 최대 성능 구현을 위한 SoC (System On Chip)을 핵심 기술로 개발


 - 항상 전원이 켜져 있으면서 이동성이 보장된 시각영상 프로세싱이 가능


 - 하드웨어 개발과 함께 미들웨어 수준에서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진행될 예정

□ 시사점


○ EU는 다양한 이동 장비의 시각센서를 통합할 수 있는 저전력 시각화 플랫폼 개발(EoT)을 통하여 ICT의 혁신을 기대


 - 하지만, EoT 기반 이동통신기기의 확산에 따른 개인의 사생활 보호 제도에 대한 정비가 필요


○ 우리나라의 IoT 수준은 단말기 등 일부 하드웨어와 디바이스 간 통신기술의 경쟁력은 높지만 플랫폼·센서·보안 등 핵심 분야의

    역량은 낮은 것으로 평가*

 

  * 사물인터넷 현황과 시사점, 한국수출입은행(2014.05.12)


 - 따라서 정부는 IoT 혁신기술개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개인정보활용과 보호가 균형 잡힌 개인정보 생태계 정립 방안 마련이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