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전기자동차와 내연기관 자동차 환경 영향 관련 비교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의회조사국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6-16
- 등록일 2020-07-03
- 권호 170
미국 의회조사국(CRS)는 배터리식 전기자동차(BEVs)와 내연기관 자동차(ICEVs)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20.6.)
* Environmental Effects of Battery Electric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Vehicles
승용차의 대안으로 자동차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로서 전기 자동차가 대안으로 부상
- 승용차는 온실가스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사용주기가 다른 교통수단에 비해 짧다는 점에서 대체 기술개발의 파급효과가 클 수 있음
* ’18년 미국에서는 36만대의 플러그인 자동차(PHEVs, BEVs)와 34만대의 하이브리드 자동차(HEV)가 판매
- 배터리 전기자동차(BEVs)와 내연기관 자동차(ICEVs)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판단하기 위해 라이프 사이클 평가*(Life Cycle Assessment)가 요구
* 자동차의 원자재 생산에서 가공, 자동차 제작, 운행, 평가, 재활용 과정과 함께 연료 채굴, 수집, 정제, 시장 수송, 내연기관
연소 또는 전력 생산에 이르는 전 단계내 영향 고려
- 자동차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 평가는 크게 지구 온난화, 대기오염, 건강과 생태계로의 영향, 자원 소비량의
4가지 측면을 고려
일반적으로 배터리식 전기자동차가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덜한 것으로 나타남
- 배터리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무게를 상쇄하기 위한 경량 소재를 만드는 과정에서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1.3~2배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나, 자동차 운행 단계해서는 이를 만회하고 남을 정도로 온실가스를 적게 배출
- 생애 주기 전체적으로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더 적은 온실 가스를 배출
- 배터리 전기 자동차, 내연기관 자동차 모두 제조와 연료생산 과정에서는 대기오염을 발생
- 배터리 생산에 필요한 금속 채굴과 정체, 전기 생산 과정에서 국민 건강에 해로운 물질이 배출될 수 있다는 점에서 악영향이 클 수 있음
- 배터리식 전기자동차의 환경적 영향은 크게 전력 생산 에너지원, 자동차 크기 및 충전방식, 자동차 운행 가능 거리, 배터리 화학 소재 등에 의한 영향이 큼
연구 결과, 일관된 전과정 평가(LCA)를 바탕으로 배터리식 전기 자동차와 내연기관 자동차의 환경적 영향을 비교
- 전기 자동차(BEVs)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모든 생애 주기동안 온실가스 3%, 휘발성 유기 화합물 61%, 일산화탄소 93%,
질소산화물 28%, 블랙카본 32%의 배출 감소 효과가 나타남
※ 전기자동차는 배터리 생산과정이나 전력 공급 과정에서 미세먼지를 15%, 황산화물을 273% 더 많이 배출
- 자원 소비의 측면에서 전기자동차는 내연기관 자동차에 비해 전체 에너지 자원을 37% 적게 사용하였으나, 수자원을 56% 더 많이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