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과학기술 예측 조사 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6-15
- 등록일 2020-07-03
- 권호 170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은 올해 실시한 과학기술 예측조사 중 델파이 조사 결과를 발표(’20.6.)
※ NISTEP 전문가 네트워크 전문조사원 2000명 및 분야별 분과회에서 추천된 관련 협회 90개 단체 회원 등
전문가 참여로 7대 분야 702건 주제 설정
* 7대 분야: 건강・의료・생명과학, 농림수산・식품・바이오, 환경・자원・에너지, ICT・애널리틱스・서비스, 도시・건축・토목・
교통, 우주・해양・지구・과학기반
과학기술 예측조사는 과학기술 시점에서 7대 기술 분야별로 2050년까지를 전망하고, 제6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등
과학기술 혁신 정책・전략 수립시 활용 목표
- 조사 항목으로 중요도, 국제경쟁력, 실현 예상 시기, 실현을 위한 정책 수단 관련 전문가 의견을 수렴
(1) 건강・의료
- (중요도) 노화, 뇌과학, 의료기기 분야로 그중 노화 관련 주제가 상위 2위로(운동기능 저하, 알츠하이머) 초고령 사회 문제 해결에 직결된 기술 선정
- (국제경쟁력) iPS 세포 등 줄기 세포를 이용한 ‘재생・세포 의료’, ‘유전자치료’, ‘면역계를 기반으로 하는 치료’ 관련 주제
- (정책수단) 정보 건강, 사회 의학에서의 ELSI(윤리・법・사회적 함의에 대한 연구) 대응
(2) 농림수산・식품・바이오테크놀로지
- (중요도) 인간을 대체하는 농업 로봇, 인공위성・기상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기상 예측과 재해 리스크 평가 시스템, 지구 온난화가 미치는 자원 변동 예측・관리 시스템 기반 기술
- (국제경쟁력) 인공위성・기상관측 데이터를 활용한 기상 예측과 재해 리스크 평가 시스템, 고령사회를 의식한 푸드 믹스
- (정책수단) ‘안전・안심・건강’ 분야는 법・규제 정비 필요
(3) 환경・자원・에너지 분야
- (중요도・국제경쟁력) 2차전지, 자연재해, 방사선 제거, 지구 온난화 등 리스크 관리
- (정책수단) 리스크 관리는 인재육성 및 확보, 자원개발은 일본 국내 관련, 지구온난화, 물은 국제협력 및 표준화
(4) ICT・애널리틱스・서비스 분야
- (중요도) 사회구현, 보안・사생활, IoT・로보틱스, 네트워크 인프라가 높음
- (국제경쟁력) 네트워크 인프라, IoT・로보틱스, 컴퓨터 시스템, 상호작용
- (정책수단) 데이터사이언스・AI는 인재육성, 정책・제도 설계지원은 ELSI 과제 대응
(5) 소재・디바이스・프로세스 분야
- (중요도) 2차전지・태양전지・연료전지, 웨어러블 디바이스・바이오 소재, 인프라・모빌리티 분야 구조물 진단
- (국제경쟁력) 연료전지, 파워반도체, 2차전지
- (정책수단) 컴퓨터과학・데이터과학 인재육성・확보, 응용 디바이스 시스템 연구개발비 및 법・규제 정비
(6) 도시・건축・토목・교통 분야
- (중요도) 전반적으로 과학기술 주제의 중요도가 분산
- (국제경쟁력) 재해방지・재해감소 관련정보, 자동차・철도・선박・항공 등
- (정책수단) 자율주행 등 교통 시스템, 자동차・철도・선박・항공 관련 국제협력 및 표준화 요구, 인프라 유지 관련 국내 연계 및 협력
(7) 우주・해양・지구・과학기반 분야
- (중요도) 양자빔에 의한 계측・분석, 재해 예측에 활용될 수 있는 기술, 자동화를 위한 측위기술 등 관련 주제가 과반수를 차지
- (국제경쟁력) 현상 규명과 관련 국지호우 예측 및 여러 빔을 이용한 소재구조 분석
- (정책수단) 우주,해양 분야 정책 지원 및 인재, 연구비, 기반 정비 분야 국제협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