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권・윤리 논쟁 등 안면인식 기술 둘러싼 美・中 행보 엇갈려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BB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6-11
  • 등록일 2020-07-03
  • 권호 170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미국) 안면인식 기술에 대한 윤리 논쟁 재점화기술 규제 촉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5월 말 경찰 과잉 진압으로 발생한 조지 플로이드사망 사건을 계기로 기술 태동 초기부터 인권 침해, 윤리

   문제 등으로 우려했던 안면인식 기술 논쟁 재부상


 - 대표적인 안면인식 스타트업 클리어뷰(Clearview)AI’는 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의 진원지인 미네소타미니애폴리스 경찰에 안면인식 기술을 판매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의 중심

  

  ※ 클리어뷰AI는 구글유튜브트위터페이스북 등 SNS 플랫폼에서 불특정 다수의 안면 이미지를 무작위로

    수집해 논란


 - 안면인식 기술은 백인 남성을 기준으로만 식별 능력이 양호하고 그 외 인종성별에 대해서는 판별 능력이 떨어져 자칫 죄 없는 사람을 범인으로 인식하는 인종성차별 도구가 될 수 있다는 우려 가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주요 IT 기업은 AI 기반 안면인식 기술을 적절하게 규제하는 가이드라인 필요성을 재차 강조하면서 사업 중단,

   ​기술 제공 유예 등 단호한 입장을 표명


 - IBM은 대량 감시, 인종 프로파일링(자료 수집), 기본 인권 및 자유를 침해하는데 안면인식 기술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사업을 중단한다고 선언(6.8)


 - 아울러 법 집행 기관이 안면인식 기술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 국가적 대화를 시작해야할 때라고 언급 


5-1.PNG

- 아마존은 1년 동안 정부경찰에 안면인식 SW(레코그니션)제공을 중단하겠다고 밝히며 의회가 적절한 규제를 마련할 것을 촉구(6.10)

  

  ※ 레코그니션(Rekognition): 이미지 속 물체, 장면, 얼굴 등을 감지할 수 있는 기술로 ’16년 출시


 - MS는 그 동안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를 통해 미국 경찰에 제공하던 안면인식 API 기술을 통제할 수 있는

   국가적 법률 시행 때까지 기술 공급을 유예하겠다고 결정(6.11)

  

 ※ ’19.4월에도 인권 침해를 이유로 캘리포니아 경찰에 안면인식 기술 지원을 거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2.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60pixel, 세로 60pixel (중국) 정부 주도 하에 안면인식 기술개발과 도입에 적극적AI 굴기 속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30AI 분야 글로벌 리더로 도약한다는 목표 하에 공공안전, 금융서비스, 운송 및 도매 유통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안면인식 기술 도입 활발


 - 알리바바텐센트 등 대표 IT기업뿐 아니라 메그비(Megvii)센스타임(SenseTime)이투커지(Yitu) 등 세계적

  수준의 안면인식 스타트업이 기술개발과 실증 테스트에 적극 참여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_아이콘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3pixel, 세로 42pixel 한 중국 정부는 ’19.12월부터 스마트폰 신규 가입자의 안면인식 등록을 의무화하며 데이터 구축에 앞장


 - 14억 명에 달하는 중국 인구의 안면 이미지 데이터를 구축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를 활용한 새로운 비즈

  니스 개발, 마케팅 수립에 활용한다는 취지

 

5-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