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바이오메디컬 혁신을 위한 법률 초안 공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5-01-27
  • 등록일 2015-03-09
  • 권호 41

□ 바이오메디컬 혁신 법률 초안이 미국하원 에너지상거래위원회를 통과하여 제113차 연방의회에서 공표(2015.1.27)


○ 바이오메디컬 혁신 법률(안)은 의료 제품․기술 개발 절차 개선을 위한 법


 - 「21세기 치료 이니셔티브(the 21st Century Cures initiative)」에 대하여 양당이 합의점을 도출


○ 법률(안)은 의약품과 의료기기 개발의 내재적 문제에 대한 조치를 포함 

(주요내용1) 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 심사 표준을 유지하면서 임상 개발과 미국식품의약국(FDA) 심사 간소화를

   촉진


○ 의약품 개발 시 새로운 통계방법․실험 설계 활용, 초기 임상실험 결과 기반의 유망 신약 승인을 가능케 하거나, 획기적인 의료

    기기․진단법 승인 및 시판중인 약물의 FDA 승인 확대를 위한 절차 간소화 등을 통해,


○ 산업계와 FDA가 벤치 투 베드사이드*의 혁신적 제품 개발을 위해 신속하고 협력적으로 함께 일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

 
  * bench to bedside: 임상실험 모델을 통하여 질병의 진단, 예방, 치료기술의 생물학적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로 이론에서

    실제로의 이행을 강조


※ FDA 신약 허가 심사기간은 2004년 200~900일에서 2013년 250~350일로, 지속적인 단축이 이루어지는 중


(주요내용2) 연구지원 방법론 개발 기회 제공, 제품수명 전반의 임상실험 데이터 활용 및 포괄적 개발 지원, 임상

   개발 및 FDA심사 기간 동안 환자 의견의 반영을 강조


○ 약물과 장치 개발과정*은 제품의 임상적 영향 측정 방법**에 크게 좌우되는 바,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연구를 지원하는 새로운

    도구와 방법론 개발 기회를 제공


   * 초기 단계의 과학적 발견, 임상 시험 및 규정 검토


  ** 바이오마커(biomarker, 생체지표)추적조사, 혈액 내 바이러스 양 등을 측정하거나, 초기에는 용이하게 측정되지 않는

      환자에게 중요한 결과를 측정하는 방법 등


○ 기초연구․임상실험 데이터, 환자의 전자 건강기록 데이터, 시판 후 조사 데이터 등을 활용한 연구개발 확대


 - 치료법 개발을 위해 상이한 자료원을 통합․수집하는 체계적이고 표준화 된 절차를 마련


○ 바이오메디컬에서 환자중심주의의 중요성 강조


 - 약물 개발 및 FDA규정심사 과정에 환자의 직접적인 참여 기회를 확대


 - 의료 제품의 효과와 위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환자 데이터의 활용과 개발을 촉진


□ 결론 및 시사점


○ 새로운 의료기술 개발에 대한 구조적 문제의 해결 노력을 통해 신약 출시 지연에 따른 제약 산업계의 연구개발 생산성 및 수익

    감소에 대한 개선 기대


○ 2014년 식약처 등에서 의약품 관련한 줄기세포치료제 임상시험 규제완화 방안 등을 발표하였으나 안전성·효용성 등에 대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


 - 규제완화와 함께 다양한 방식으로 의약품의 안전성‧유효성 심사 표준을 유지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고려할 시점 

 


출처 : 브루킹스연구소 (2015.1.27)
http://www.brookings.edu/blogs/health360/posts/2015/01/27-21st-century-cures-legislation-daniel
http://energycommerce.house.gov/cures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