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미래 산업 내 리더십 강화 방안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7-08
  • 등록일 2020-07-31
  • 권호 17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백악관 대통령과학기술자문위원회(PCAST)는 미래 산업 내 미국의 리더십 강화 방안을 제시*(’20.7.)


  * Recommendations for Strengthening American Leadership in Industries of the Future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글로벌 과학기술을 주도해 온 미국은 최근 미래 산업(IotF)의 리더십 유지를 위한 위협을 느끼고, 이를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


  * 미래산업분야는 AI, 양자정보과학(QIS), 첨단제조업, 첨단통신(5G), 바이오 기술로 정의


1) 미래산업 분야의 다부처 참여 강화


 - AI, 첨단제조, 5G, 바이오 등 핵심 기술 분야에서 정부산업학계 및 비영리 연구기관간의 새로운 협업 시스템 구축


AI


 - 연방정부기업 R&D 예산 내 AI 분야의 투자 확대 및 R&D 파트너십 재구성 


1-1.PNG



 - COVID-19 대응 중개적 기술*(translational technology) 개발을 촉진하고, AI기반 실증 테스트베드 조성


  * 기초연구에서 얻어진 새로운 지식, 기법을 새로운 접근법으로 번역(translation)해서 실생활에 직접적 유익을 주는 기술


 - 최상위 AI 인재 유치, AI 기술 성숙 모델 구축, AI 교육 및 훈련 기회 제공


양자정보과학(QIS)


 - 양자컴퓨팅, 양자 인터넷, 인프라넷 분야의 세계적 양자 기반 시설 확보를 위한 민간기업학계정부간 협력 필수


 - 국가간 양자 컴퓨팅 사용 시설 구축, 양자 전문 인력 양성, 양자연구 협력 촉진


 - 양자 기초 연구소 신설, 고급인재 유치


  * 국가양자이니셔티브법(NQI Act) : ’22년까지 86,000만 달러(1조원)를 양자정보과학 R&D에 투자하도록 지원


고성능 컴퓨터(High Performance Computing), AI, QIS 기술 융합


 - 시뮬레이션의 정확도를 높여 분자 화학, 핀테크, 기상학, 운송 기술 부문 개발 가속화


2) 새로운 국립 연구소 시스템 구축


 - 다양한 분야의 R&D 국립연구소 시스템을 새로운 미래 산업 국립 연구소 시스템으로 발전


 - 두 개 이상의 미래 산업을 융합하여 기초응용연구를 수행하고, 다양한 기관의 참여시 인센티브 제공


 - 기술 상업화 촉진 및 지식재산권 제도 수익률 개선을 통해 규제 부담 완화


 - 미래 산업 바이오기술 연구소의 경우, 에너지부 연구소의 관리 아래 국립보건원(NIH)과 농무부(USDA) 연구소의 미래 산업기술 발전 지원


1-2.PNG


3) 미래 산업 인력 양성


 - 국립과학재단(NSF)은 다양한 기관이 참여하는 STEM 재훈련 프로그램을 신설하고, 경쟁적 시범 사업을 통해 STEM 기술 역량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방안 모색


 - 연방정부는 민간기업과 대학의 연구에 매칭 펀드를 제공하여 양자정보과학, 인공지능, 첨단 제조 등 미래 산업 분야에서 인증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자격증과 인증서를 제공하는 학습훈련 프로그램 개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