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미중 기술 전쟁 심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CNN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20-07-10
  • 등록일 2020-07-31
  • 권호 17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NN은 미중간 미래 기술 갈등 상황에 따라 중국 기업의 불확실한 전망을 보도*(’20.7.)


  * A new world war over technology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최근 미중간 AI, 5G 네트워크 기술 경쟁의 심화로 안보까지 긴장이 확산되면서 양국의 정부와 기업간 파트너십에 대한 강도 높은 제재 조치가 발효


 - ’80년대, IBM과 마이크로소프트(MS)가 혁신을 주도하는 동안, 중국은 인터넷 컨텐츠의 중국내 이용을 차단하는 인터넷 만리장성 검열 메커니즘 구축


  * 과거 인터넷을 자율적으로 운영했던 러시아는 중국 기술의 도움으로 인터넷을 통제하기 시작


 - 중국은 외국 기술 의존도를 낮추고자 중국제조 2025를 발표하였으며 수십억 달러무선통신, 반도체, 로보틱스 등 첨단 기술 분야에 투자


  ※ 중국 반도체 산업은 전체 수입규모의 15%3,060억 달러(368조원)를 차지


 - 미국은 중국의 기술 도용 문제를 이슈화하며 ’18년부터 본격적인 무역전쟁을 시작하였으며, 중국 화웨이 기업에 대한 반도체 부품 공급을 막는 등 중국 기술 기업에 대한 제재 조치를 시작하고 중국의 미국 시장 접근을 제한


 - 중국도 미국에 대한 기술 의존도를 단절하고 양극화된 세계에서 국제적인 기술, 무역, 금융 구조를 중국에게 유리하게 변화시키고자 노력 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이로 인해 글로벌 무역과 공급망을 무기화 하는 가상 베를린 장벽이 세워지고 있으며, 국제 환경내 중국 고립주의현상이 높아지는 추세임


 - 화웨이 사례의 경우 미국은 1년 이상 동맹국의 5G 네트워크에서 화웨이의 통신기기를 배제하도록 압력을 가해 옴


  * 기술기업이 이제는 범국가 차원이 아닌 국가에 속한 부분으로 인식하게 만들어, 기술기업의 국적에 의미를 두기 시작


 - 영국은 화웨이가 5G 네트워크 공급자로 참여하는 방안을 재검토할 계획이고, 이탈리아 최대 통신 기업도 5G 기기 공급경쟁에서 화웨이를 배제하기로 결정


 - 미국과 동맹국인 대만과 한국은 중국 기업이 필요로 하는 최첨단 반도체를 공급한다는 점에서 국가와 기업의 선택이 기로에 놓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글로벌 시장에 진출한 중국 기술기업은 일부 시장을 포기하고 철수하거나, 기업의 운영을 분산화시켜 독립적 해외 법인을 운영하는 방안을 모색 중 - 최근 중국과 인도의 충돌로 인도 군인 20명이 사망하는 사건을 계기로 중국 바이트댄스(ByteDance) 어플리케이션 틱톡(TikTok)은 인도에서 퇴출됨


 -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부 장관은 국가 안보에의 위협을 이유로 틱톡을 금지하는 방안을 고려 중


  * 틱톡은 전 디즈니 사장인 케빈 메이어(Kevin Mayer)CEO로 영입하고, 데이터센터가 중국 외 지역에 있어 미국 안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주장 


 - 바이트댄스는 틱톡의 본사를 중국이 아닌 곳에 설립하거나 기업 구조를 변화 시키는 방안을 고려 중


2-1.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