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R&D 시설・장비 관련 의제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7-15
  • 등록일 2020-07-31
  • 권호 17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문부과학성 R&D 기반 WG은 이번 6차 회의에서 R&D 시설장비 관련 의제를 논의(’20.7.)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코로나로 인한 R&D 시설장비 미활용의 장기화를 극복하고자 관련 주요 사업별 중점 이슈 및 추진과제를 도출


1) 핵심 시설 구축 지원 사업


첨단 연구기반 공용촉진사업 내 시설 공동 이용을 추진해 왔으나, 대학연구기관 전체 공동사용 인식 저조, 노후화, 기술 인재 부족, 교원 부담 가중이 증가


 - 대학연구기관에서 연구설비기기를 전략적으로 도입갱신공동 사용하는 구조 강화(핵심 시설화)


 - 고위 경영진을 중심으로 총괄부서를 설치하고, 학내 공용 설비군을 네트워크화 하여 전체 대학에 적용되는 연구시설장비 운영 방침 정비


 - 대학 및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기관당 6000만 엔을 지원하며, 연구설비 등 재배치갱신폐기 등 공통관리시스템 구축, 전문직원(기술직, 사무직, URA, RA ) 배치, 전문인력 육성


 - 훗카이도대 핵심 시설 구상, 도쿄 공업대 오픈 시설 센터 구축 등 5개 사업 지원


  * ’2034개 신청기관 중 5개 기관 선정


2) 연구 설비 원격화자동화 정비 사업 


박사 과정 학생 및 연구자의 출입이 제한되어, 연구설비기기를 활용한 실험이 어려워 신진 연구자의 경력에 미치는 피해 급증


 - 연구자의 수요가 많은 연구 설비의 원격 이용 및 실험 자동화를 위한 설비 및 기기 조기 도입


 - 3(밀폐, 밀집, 밀접)을 피하면서 현장에 가지 않고 AI, IoT, 로봇 등을 활용한 실험 자동화 실현


 - ’202차 추경예산은 21억 엔이며 30개 기관이 참여(국립대(23), 공립대(1), 사립대(3), 고등전문학교(1), 대학공동이용기관(2))


4-1.PNG 


3) 국립연구개발법인 연구설비 원격화 


국립연구개발법인 내는 민간기업 연구원 출입 및 방문의 제한으로 공용연구 설비기기를 이용한 실험 설비 접근 차단


 - 산학연계 공동연구에 있어 수요가 높은 공용연구 설비에 대한 원격이용 및 실험 자동화 추진


 - 국립연구개발법인 운영비 교부금 또는 특정 첨단대형연구기설 운영비 등 보조금 추가 지원


 - 총 예산은 29000만 엔으로 대상기관은 이화학연구소(RIKEN) 4개 기관*


  * RIKEN(9200만엔) 고체용액고자장NMR(핵자기공명), 물질재료연구기구(NIMS,9000만엔) 전자현미경, 고체NMR , 일본원자력연구개발기구(JAEA,5600만엔) J-PARC 중성자선 빔라인 양자과학기술연구개발기구(QST, 5200만엔) 전자선감마선 조사설비

 

4-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