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반도체 기술이 직면한 이슈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학망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07-07
- 등록일 2020-07-31
- 권호 172
중국과학원 반도체연구소는 중국 반도체 기술이 직면한 이슈를 발표(’20.7.)
* 중국과학원 반도체연구소 뤄쥔웨이(骆军委)와 중국과학원 리수선(李树深) 원사는 10개월간 조사연구를 거쳐, 중국 반도체 과학기술의 문제점을 도출
중국은 반도체 기술 대외의존도를 낮추고 자체 기술로 개발하기 위해 반도체 산업 관련 극복해야 할 중점 이슈 등을 제시
* 최근 미국은 「반도체 생산을 위한 효과적 인센티브 조치」, 「미국 웨이퍼산업 법안」을 잇달아 발표하고, 370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 반도체 기술개발 강화
① 역사적 축적과 빠른 기술 업데이트
- 반도체 제품은 무엇보다 성능과 시장점유율이 가장 중요하며, 장시간의 축적이 필요
② 높은 R&D 비용과 진입장벽
- 글로벌 반도체 기업의 평균 R&D 투자비중은 매출액의 20%를 유지하고 있으며, 10억 달러 이상의 기업이 13개에 이름
* 전체 상위 10위안에 중국 본토 기업이 전무
③ 산업 가치 사슬 시스템 구축
- 반도체 기술의 응용 프로그램은 재료, 구조, 장치, 회로, 아키텍쳐, 알고리즘, 소프트웨어 등 모든 것이 필수
④ 선진국의 중국 기술 제재 조치
- ’17년 백악관이 발표한 「미국 반도체산업 선두 확보 보고서」에서 중국의 기업에 대응하여 중국의 독자기술 개발을 방지해야 한다고 언급
⑤ 첨단 인재 양성
- 소수 연구진만이 반도체 재료 및 부품 관련 연구에 종사하고 있으며, 대학 은 대부분 집적회로 설계 분야 전공에 학생들이 집중되어 있음
⑥ 연구 평가 메커니즘 개선
- 반도체 전공 체계 미비 및 높은 설비 의존도로 국가의 유도와 권장이 필수
⑦ 가치사슬
- 중국 반도체 R&D투자는 미국의 5% 미만이며, 현재 국가자연과학기금위원회(NSFC)에서 추진하는 연구 중 반도체, 광학 분야비중은 2~4.6% 내외임
- 중국 내 반도체 기업은 매우 취약하고, 특히 대기업 R&D 투자가 매우 빈약
⑧ 지식재산권 보호
- 일부 대기업연구소는 졸업생 초빙 방식을 통해 기술을 확보하려고 하는데 이는 기초연구 발전에 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