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디지털 뉴딜 신호탄, 데이터 역량과 5G 기술력이 핵심 동력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기정통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7-15
  • 등록일 2020-07-31
  • 권호 172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디지털 경제 강국으로 도약데이터 댐과 5G 기반 데이터 고속도로 필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코로나19 위기에도 불구하고 세계 최고 수준의 ICT 인프라를 기반으로 원격근무영상회의온라인 개학 등을 순조롭게 진행하며 디지털 경제 사회로 전환 가속


 - 이 같은 배경 하에 우리 정부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7.14)’을 확정하고 첨단기술 기반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화하며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새로운 성장 기회로 활용하려는 행보 박차


  ※ 2025년까지 160조 원 투자, 일자리 190.1만 개 창출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양대(디지털+그린) 축을 이루는 디지털 뉴딜은 한국의 ICT 강점을 기반으로 디지털 경제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한 디지털 대전환 국가 프로젝트


 - D.N.A. 생태계 강화 교육 인프라 디지털 전환 비대면 산업 육성 SOC 디지털화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국가 산업 재편과 디지털 강국의 입지를 공고히 하겠다는 계획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디지털 뉴딜을 이행하기 위한 핵심이 바로 데이터 댐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으로 사업 발굴과 투자 유치 등 정부의 적극 지원에 힘입어 시장 기대감 확산


1-1.PNG


 - (데이터 댐) 소비자 개인정보, 인터넷 쇼핑정보, 내비게이션 이동경로 등을 비롯한 모든 유무형 자산과 국가 행정정보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데이터를 소위 에 축적해 필요한 곳에 사용하고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개념


 - (데이터 고속도로) 데이터 댐에 축적한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마음껏 활용가공분석해 환경의료치안에너지 절감 등 다양한 서비스 창출로 연결할 수 있는 수로역할로 5G가 중심


  ※ 5G는 자율주행차, 헬스케어 등 전 산업과 융합해 ICT 생태계 전반의 혁신뿐만 아니라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를 부여할 것으로 기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이에 정부도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을 위해 다양한 지원과 함께 5G 품질평가 실시, 5G 설비투자 경쟁 유도, 6G원천기술 개발 등 착실히 준비한다는 구상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정부, 통신3사와 데이터 고속도로구축 논의 본격화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2022년까지 5G 전국망 구축을 차질 없이 이행하기 위해 5G 전국망 구축 현황 및 계획 점검과 애로사항 및 개선방안 등을 논의(7.15)하며 데이터 고속도로 구축에 속도


 - 정부 관계자, 통신 업계 등이 데이터 고속도로 중심인 5G 중요성을 공감하고 5G 인프라 조기 구축과 선도적 활용 등을 검토하며 적극적인 투자로 경기회복을 견인해 나가는데 합의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통신 4(이통3+SKB)5G 이동통신 인프라 조기 구축을 위해 향후 3년간(’20~22) 무선유선 통신인프라 등에 약 24.5~25.7조 원 투자(잠정)를 단계적 이행 예정


1-2.PNG


 - (2020) 체감 품질 향상을 위해 서울6대 광역시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 2,000여개 수도권 29호선 등과 비수도권 지하철 고속도로 주요 32개 구간 등에 중점 구축


 - (2021) 전국 85개시 주요 행정동 중심으로 다중이용시설 4,000여개(누적) 지하철 및 KTXSRT 전체 철도역사 20여개 고속도로 등에 구축


 - (2022) 85개시 행정동주요 읍면 중심부를 중심으로 중소다중이용시설 ITX 새마을호 등 철도역사 전체 고속도로 등까지 구축하여 사실상 전국에서 5G 이동통신을 원활하게 이용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정부도 통신사의 투자 확대 전략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투자 세액공제, 기지국 등록면허세 감면 등 인센티브 지원 노력을 이어갈 계획


 - 5G 단독모드(SA), 28GHz(기가헤르츠) 대역에 투자를 확대하며 완벽한 초고속초저지연 성능등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목표


  ※ 2019년 통신 4사의 투자규모는 9.6조 원으로 2018년 대비(6.3조 원) 50% 이상 투자를 확대하여 5G 품질을 빠른 속도로 개선하고 있으나 체감품질과 이용자 편익 증진을 위해 더욱 분발해야하는 시점이라고 판단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정부의 데이터 댐 사업, 데이터 고속도로 투자가 속도를 내면서 데이터 처리분석암호화 등 관련 스타트업 투자 유치가 활기를 띠기 시작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아울러 데이터 수집가공활용에 필요한 전문 인력양성과 교육 프로그램 확대 등이 일자리 창출로 이어져 디지털 대전환의 변화를 직접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국내 대표 인터넷 기업, 데이터 댐 사업 등 한국판 뉴딜 정책에 동참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네이버는 정부의 디지털 뉴딜 정책을 적극 뒷받침하기 위해 20여 년간 축적해온 자사 데이터 개방을 선언


 - 7.14일 한국판 뉴딜 국민보고대회에 온라인으로 참여하여 자사 데이터를 AI 연구와 여러 산업에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 마중물이 되겠다는 포부 제시


 - 데이터 기반의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AI 기술로 분석가공한 다양한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공개하겠다는 계획 발표


 - 네이버 데이터센터 ()*은 지난 20년 간 이용자 기록과 다양한 정보를 축적한 커다란 데이터 댐이라고 소개하며 이를 잘 활용해 더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 가치 있다고 설명


  * 팔만대장경을 보존하고 지식을 전달한 장경각에서 이름과 건축 구조를 모방


 - 이어 네이버의 기업형 액셀러레이터 ‘D2SF D2 스타트업 팩토리는 데이터 산업 고도화에 필요한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클로아, 디사일로, QMIT )에 투자를 단행(7.21)하며 기술개발 앞장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