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지역대학의 기술 실용화에 관한 조사결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5-02-19
  • 등록일 2015-03-23
  • 권호 42

과학기술학술정책연구소(NISTEP)는 지역대학의 기술시즈(seeds)* 실용화 시책에 대한 사례 분석 보고서를 발표

   (2015.2.19)


  * seeds(シーズ ) : 기업이 소비자에게 새로 제공하는 신기술·재료·서비스, 사업화 제품화의 가능성이 있는 기술이나 노하우등을

     의미


○ 지역 경기침체해결에 지역대학의 기술시즈(seeds)가 부각되면서 지역 대학의 기술시즈 실용화 시책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

    지역혁신의 특징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도출

□ 지역 대학 실용화 프로세스 사례 

 

구분

히로사키(弘前) 대학

: 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an)*

카가와 대학(香川)

: 희소당(Rare sugar)*

추진 개요

() 내 기업과 연계해 문부과학성 지원을 받아

   물질 양산화에 성공하고 기능성 식품 및 화장품

   개발로 연결

 

한 가지 물질에 집중, 소수의 참여기관 실용화에

   성공

 

현의 조직적 참여에도 이노베이션 가치연쇄의

   중요단계에서 노하우나 판매력 있는 현()

   기업이 크게 공헌

 

  * 단백질과 복합된 산성 점액성 다당류로 쇼크

     작용으로부터 조직의 섬유성분 및 세포 성분을

     보호하는 역할 등을 담당

당초 현 외 기업과 연계했으나 문부과학성 지식

   클러스터 창출사업선정 후 현 내 기업과 연계해

   조직적인 용도개발연구 수행

 

동시에 지적 클러스터 창출사업 시책에 따른 현

   외 기업 참여로 R&D 촉진

 

문부과학성-농림수산성-경제산업성의 조성

   사업을 활용해 실용화에 착수

 

  * 자연계에 소량밖에 존재하지 않는 50종류

     정도의 희소한 당으로 혈당치를 억제하고

     혈압저하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

실용화 과정

특허출원이 적고, 특정 보건용 식품 신청을 하지

   않는 등 지식재산화 시책이 미흡하며, 창업기업

   수가 적음

현 외 식품재료회사가 보유한 양산화 노하우,

   특정 보건용 식품 신청을 위한 데이터 수집,

   주요시장인 대기업 확보 등 현 외 기업이

   이노베이션 창출에 크게 공헌

창출 경제활동

101개 사가 상품개발에 참여하고, 관련 제품의

   제품 출하액도 30억 엔이나, 현 내 기업의 매상은

   한정적

희소당 함유 시럽 실용화에 성공한 현 외 기업이

   30억엔을 들여 현 내 양산공장 설치, 연구개발

   벤처, 판매회사, 식품회사 창업 지원

 

창업기업의 현 내 정착 및 발전 도모를 중시

 

시럽 상품 개발기업은 현 내 100개 정도이나 현

   내 기업의 매상은 제한적

향후 과제

현 내 기업의 히트 상품 개발을 위해 현 내 관련

   산업 집적을 통한 산업시스템 구축이 필요

 

향후 프로테오글리칸의 의약품 분야 적용이

   검토되어 이노베이션 연쇄 기대

 

혁신이 지역활성화로 연결되기 위해 현 내

   가치연쇄 발전과 현 내 기업의 존재감 향상이

   필요

상품 수는 많지만 현 내 기업의 히트상품이 없고,

   산업 클러스터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

 

향후 특정 보건용 식품허가에 따른 시장확대와

   농약 및 의약용 분야로의 전개가 기대

 

혁신이 지역활성화로 연결되기 위해 현 내

   가치연쇄 발전과 현 내 기업의 존재감 향상이

   필요



□ 지역대학의 기술시즈 실용화에 대한 분석


○ 자원(Resource) : 지역의 전통과 대학의 특성을 살린 기술시즈


 - 기술시즈는 주로 기능성 식품의 원료가 되는 물질로, 지역의 전통을 살려 대학에서 장시간 연구해 온 성과로부터 창출


○ 프로세스(Process) : 기초연구는 현 내 기관, 응용연구 및 양산화 연구는 현 외 기업의 참여를 통해 연구개발과 비즈니스 개발

    가속화


○ 거버넌스(Governance) : 현이 중심이 되어 현 내 산학관 연계체제를 구축하는 한편, 현 외 기업의 참여도 중요


 - 두 사례 모두 현 내 산학관 연계체제가 구축되어 있었지만, 노하우와 판매력이 있는 현 외 기업에 의해 이노베이션이 촉진되어

    이노베이션 가치연쇄가 지역 내에서 완결되지는 못한 상태


○ 성과(Performance) : 지역 내 경제효과는 한정적이므로 향후 관련 산업 집적 형성이 목표


 - 향후 과제는 이노베이션을 지역 활성화와 연계시키는 것인데, 외부 기업 참여는 지역 이노베이션의 가속화 요소이며 동시에

    성과 누출이라는 불안정 요소로 이노베이션 활동과 정책 공간의 불일치 문제를 야기

□ 시사점


○ 본 사례연구를 통해 ① 지역의 전통과 특징에 기초한 독자적 연구개발 진흥, ② 이노베이션 창출 우선 시책의 제도적 지원,

    ③ 이노베이션 촉진과 지역 파급효과를 고려한 파트너 기업 선정의 중요성을 확인


 - 지역과 대학에 특화된 독자적 기술을 개발하되 성과물의 상업화와 이로 인한 경제적 성과 창출이 지역 발전에 기여하도록 외부

    기업과의 협력과 지역 내 산업집적을 통한 산업시스템 구축의 동시 진행이 필요


○ 우리나라도 ‘대학 창의적 자산 실용화 지원 사업’(’15.3) 등 대학 보유 자산의 실용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


 - 기술이전이나 창업기업 수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경제적 수익과 지역경제 진흥을 위해 필요한 요소를 부처 간 협력을 통한 보완이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