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산학관 연계를 통한 지역활성화 실태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총무성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09-11
  • 등록일 2020-10-08
  • 권호 176
 총무성은 지역 산학관 협력 사례를 조사하여 정리한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20.9.)

 

  ○ 일본 지역 산업이 창출 및 육성을 위해 산학관 연계가 중시되고 있으며 그 활용 사례도 증가하고 있음


- 33개의 산학연계 활동 사례 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대표적 특징으로 구분


(1) 목표 성과에 따른 분류(제품개발, 생산거점 구축 등)


 - (지역 전통 산업의 부활) 미우라(三浦) 진주 프로젝트는 지역 학생들의 지역에 대한 관심이 향후 지역활성화로 이어진다는 인식에서 초중고 등에서 해당 산업의 역사 교육이나 재배 체험 등을 추진

 

  * 진주 조개의 생리활성 물질을 화장품, 의약품에 응용하는 기술 개발, 미키모토가 개발한 진주조개의 고감도 유독 적조 바이오센서 기술을  활용하여 다른 생물종에도 응용 가

능한 해양 환경 모니터 장치 개발

 

 - (농수산물 원재료 확보) 농수산물 관련 상품개발을 위한 재배장소 및 원재료 확보를 요구한 사례로 TOKACHI Grand Nuts 프로젝트, 점다랑어 양식 등이 있음


  * 기업과 생산자간 재배계약이나 매입계약을 체결하는 노력 외에 대학의 연구자나 재배양식 기구 연구 및 생산자가 재배 등에 참여하기 쉽게 하는 방법 자체를 연구


 - (생산거점 마련) 대학, 지자체, 지원기관 등이 함께 기업을 방문해 제품개발부터 판로확대 까지 일괄적으로 지원한 후쿠이로 키라리 프로젝트 활동 및 이다 항공우주 프로젝트’, ‘코스메틱 구상등과 같은 사례가 있음 농수산물 관련 상품개발을 위한 재배장소 및 원재료


 

(2) 상정하는 시장에 따른 분류(원산지 인근, 그 외 등)

 

 - 원산지 인근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사례 중에는 야마토 코스메틱(cosmetic)과 같이 지역 특산품만을 사용한 상품을 개발하여 지역 한정으로 판매하여 고부가가치화 실현


  * 맥스는 세정제나 입욕제 제조 후 전국 드럭스토어에 판매하는 기업이나 대량 소비재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확보할 수 없다는 판단에서 지역과 협력 추진

 

 - 원산지 이외 국내 시장에서 판로를 확대하는 방법으로 판로개척 담당 코디네이터 활용, 브랜드화 추진, 인지도 향상이나 사업 매칭 등을 위한 전시회 및 콘테스트 출품 등을 볼 수 있음


 

(3) 산학관 중 핵심 활동 주체별 분류

 

 - (기업 주도) 자사의 신상품 개발을 목적으로 하는 산학관 협력이 많으며, 대학 등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상품을 개선


  * 제습용 숯사례에서 이즈모토건(出雲土建)이 동 기업 자체 기술개발로 상품화의 가닥이 잡힌 단계 이후, 새롭게 필요한 대학 등 연구자와의 매칭을 기업 스스로가 코디네이터

활동


 - (‘또는 주도) 지역 과제 해결을 목표로 한 개발 성과가 많았으며,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지원을 추진


 * KC 미야기 추진 네트워크’05년도에 대학, 지원기관, 금융기관 등이 기업의 기술 상담 원스톱 서비스를 착수하였으며, 모든 대학은 산학협력 창구를 통해 내용을 조회하고 대

응할 수 있는 기관과 매칭



4-1.PNG

 - (여러기업이 협력) 특정 기업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지역 여러 기업의 상품개발로 이어져 기업의 집적을 도모

 

  * 이다(飯田) 항공우주 프로젝트사례에서 지역 중소기업이 중심이 되어 정밀기계 가공 기술을 결집하여 일괄절 생산 및 공동수주체제 정비를 위한 에어로스페이스 이다

설립하고 현재 10개 기업으로 구성하여 각 기업이 강점을 지닌 기술을 활용한 영업 추진


  * 에어로스페이스 이다는 공익 재단법인 미나미신슈이다 산업센터와 이다시의 지원으로 프로젝트 매니저를 코디네이터로 배치하고 있어 계약체결까지 업무 등을 담당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