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중국 IP 침해 법적 대응 방안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의회조사국
  • 주제분류 지식재산
  • 원문발표일 2020-09-17
  • 등록일 2020-10-23
  • 권호 177

의회조사국(CRS)은 중국 내 미국의 IP 침해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법적 대응 방안을 마련*(’20.9.)

 

  * Intellectual Property Violations and China: Legal Remedies


  ○ 중국의 IP 보호나 관련 제도가 명확하지 않아 미국 IP 소유자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가 늘어 미중간 갈등의 주된 이슈로 부상


  - 과거 주로 IP 보호제도나 단속의 부족이 문제가 되었다면, 요즘은 사이버 도용이나 전략적 기술 취득이 주요 이슈로 부상


  - 미중간 무역 분쟁의 주된 원인 중 하나로, 1차 무역 협정이후에도 해소되지 않은 문제가 남아있으나, COVID-19 사태로 관련 논의가 중단된 상태


  - 중국에서 나타나는 지식재산권 침해의 대표적 사례는 다음과 같음



3-1.PNG

  ○ 이에 대응하여 미국은 IP 침해를 크게 시스템적 침해와 개별적 침해로 구분하여 각각 법적 대응 방안을 제시



 1) 시스템적 침해 : 외교적무역적 대응 방안

 

  ① 무역 관련 지식재산권에 관한 협정(TRIPS)과 세계무역기구(WTO) 제소: 중국의 위반 사례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


  ② 외교 및 국제 협약 : 무역 협정의 사례와 같이 외교적 역량과 자유무역협정 등의 국제적 협약을 활용해 지식재산권을 보호


  ③ 무역법 301활용 : 무역법의 301조는 미국무역대표부(USTR)에 불공정 무역 사례를 조사하고, 보복 관세를 부과할 권한 제공


  ④ 수출 통제 : 지적재산권을 침해한 중국의 기업을 거래제한 명단에 올려 이들에 대한 수출을 제한


  ⑤ 무역 확장법 232: 지적재산권 도용 제품의 수입을 막거나 다른 국가의 중국 내 사업 활동을 중단하도록 압력을 행사


  ⑥ 무역법 201: 수입품이 국내 산업을 위협할 경우 일시적으로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제한할 권한 제공



 2) 개별적 침해 : 민사형사행정적 대응 방안


  ① 민사소송 : 지식재산권 침해 대상이 법원의 관할 영역 안에 있다면, 민사법 소송을 통해 보상 요구


  ② 수입통제 : 미국 정부는 지적재산권 보유자와 협력해 지적재산권 침해 제품의 수입을 금지하는 방안 시행


  ③ 형사소추 : 형사적 저작권 및 상표권 침해, 스파이 행위, 사기 등 특정한 경우 형사소추를 통해 문제 해결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