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EU, 포괄적인 AI 법안 마련…윤리・책임・지재권 기틀 확립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European Parliamen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10-20
  • 등록일 2020-11-06
  • 권호 178

글로벌 최초로 윤리책임지적재산권 사항을 AI 법규에 포함한 권고안 제시


  ○ 유럽연합(EU) 의회가 AI 시대를 맞아 발생할 제반 분쟁과 사고에 대비해 윤리책임지적재산권 관련 권고안 내용을 포괄적으로 담은 역내 첫 AI 입법(권고)안 채택(10.20)


 - 이번 AI법안은 (AI 윤리 프레임워크) 시민 보호와 미래를 이끌 AI 기술 개발 육성 사이의 균형점 모색 (AI가 일으키는 피해손해에 대한 책임) 개인과 기업 비즈니스 보호를 위한 미래지향적 민사상 책임제 (지적재산권) 효과적 지적재산(IP) 시스템 및 개발자 보호를 위한 안전장치 마련 등 3가지 핵심 원칙에 기반


5-1.PNG

EU, 윤리적이며 안전한 AI 법적 기틀을 선도하는 것이 목표


  ○ 디지털 혁신 측면에서 미국 및 아시아 주요국에 뒤처졌다고 판단한 EU는 개인정보보호, 디지털 과세, 반독점 경쟁법 등 다각적인 규제를 검토추진하며 디지털 역량 제고에 박차


  ○ EU 집행위원회도 EU의 가치와 윤리에 기초한 AI 발전을 목표로 AI 전략 수립이행을 지원할 AI 고위 전문가그룹을 구성(2018.6)하고 윤리적인 기틀 마련


 - 이 그룹은 20194신뢰할 수 있는 AI 윤리 가이드라인권고안을 통해, 시민 복지를 바탕으로 신뢰할 수 있는 AI 기술발전 기준(3개 요소와 각 분야별 핵심 지침)을 구체적으로 제시


 - 신뢰할만한 AI는 일련의 요구 사항뿐 아니라 관련된 모든 법률과 규정을 준수해야 하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특정 평가 목록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설명


EU 집행위원회의 AI 윤리 가이드라인

Foundations of Trustworthy AI: 인간 존중을 윤리 원칙으로 준수하는 AI 시스템 개발배포사용 등

Realising Trustworthy AI: 인간의 기본권존엄성자율성 보장, 기술적 견고성 및 안전성 등

Assessing Trustworthy AI: 2단계에서 언급한 요구 사항을 실제 사례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기틀 마련


  ○ 유럽이 AI 분야 기준과 표준을 선도해 동 지역 AI 개발자·기업이 미국·중국 AI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



□ AI 시대 맞이한 세계 각국, 윤리적 가이드라인 연구 한창


  ○ EU뿐만 아니라 미국·일본 등 글로벌 주요국은 AI 시대를 맞아 법적·윤리적 가이드라인 제정 논의 급물살


   -최근 논란을 일으킨 딥페이크(Deep Fake: 딥러닝과 페이크 합성어로 AI를
이용해 이미지를 합성하는 고도의 기술) 등 AI의 부정적 측면이 드러나면서
가이드라인 필요성 배가


  - 딥페이크를 이용해 디지털 콘텐츠 합성・생성이 실사와 거의 차이가 없는 수준으로
구현되면서 사기, 음란물 등 우려 확산


  국내에서도 인권, 프라이버시뿐 아니라 투명성・신뢰성・공정성・안전성・책임성・
지속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포괄하는 AI 윤리 규범과 가이드라인 논의 진행


5-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