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이공계 인재육성 전략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인력
  • 원문발표일 2015-03-13
  • 등록일 2015-04-06
  • 권호 43

문부과학성은 양질의 이공계 인력 양성을 위해 2020년도까지 집중추진 할 정책 방향과 주요과제를 담은 ‘이공계

   인재육성 전략’을 발표(2015.3.13)


○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일본은 국제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도할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우수한 기술력,

    실용화 역량을 겸비한 인재 양성에 주력 

 

□ 3대 추진방향 및 10대 중점항목

주요 방향

중점과제

주요 내용

고등교육단계의

교육연구기능 강화

1. 이공계 전문가 및 리더

   인재육성 시스템 강화

산업계 참여 하에 고등교육의 직업교육

   시스템 구축으로 이공계 전문가 양성기능

    근본적 강화

글로벌 리더 양성을 위한 국내외 최고 교원을

   결집시켜 체계적 교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박사과정교육 개혁 및 강화

2. 교육기능의 글로벌화 추진

대학 교육기능 국제화 추진

글로벌 과제 탐색 및 해결 역량을 갖춘

   이공계 인재 육성

이공계 커리큘럼 유학 프로그램 설정 및 해외

   대학 교환학생제도 촉진

3. 지역기업과 연계한 지속적

   발전적 이노베이션 창출

산학관이 연계된 이종(異種) 분야 간 융합을

   통해 연구개발 및 실증거점의 형성을 추진

지역과 협력이 가능한 연구자 육성

4. 국립대학의 교육연구조직 정비 및

    재편 등을 통해 이공계 인재육성

국립대학의 대학원 중심 이공계 인재육성

   기능 강화로 글로벌 과제 탐색 및 해결이

   가능한 인재를 육성

어린이에게는 체감을,

젊은이와 여성사회인에게는 도약을

5. 초중등교육에서

   창조성탐구성주체성도전 정신

   함양

주체적협동적 교육 촉진 위한 교육여건 정비

계획적인 관찰 및 실험환경 정비

대학과 연계한 역량있는 학생 발굴 및 재능

   향상 도모

6. 학생과 젊은 연구자의 모험정신

   (벤처 마인드) 육성

벤처마인드나 기업가정신 교육을 위한 대학

   인재육성 프로그램 개발과 실행

7. 여성의 이공계분야 진출 추진

진로 선택을 위한 대학의 성공 사례와 롤

   모델 제시를 통해 이공계에 대한 여성의

   관심 유도 활동 추진

우수연구성과의 창출을 위한 여성 리더 활용

   촉진

8. 젊은 연구자의 활약 촉진

독자적 연구활동이 가능하도록 환경 정비

안정된 고용여건 속에서도 경쟁적 환경을

   조성해 경력개발 경로 정비

9. 산업 인재의 최첨단타분야 지식

   및 기술 습득 추진

산업 인재의 기술 습득을 위해 대학과

   산업계를 연계해 사회인을 위한 체계적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실시

산학과의 대화와 협동

10. 이공계 인재육성-산학관

    원탁회의(가칭) 설치

산업계에서 활약할 이공계 인재의 전략적

   육성을 위해 이공계 인재에 대한 정보인식

   공유하여 협동 시책을 추진할 이공계 인재

   육성- 산학관 원탁회의(가칭) 설치

 


□ 시사점


○ 일본 이공계 인재육성전략의 초점


 - 고등교육의 글로벌화와 지역을 포함한 산업계 수요 반영, 초중등교육의 창조성‧탐구성 및 대학의 기업가정신 육성, 여성․신진

    연구자․산업 인재의 활용 촉진, 산학관 협력 기구 마련 등에 초점


○ 우리나라도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해 ‘공과대학 혁신방안’을 마련하고 후속 ‘이행계획(총 44개 세부과제)’을 확정(2014.8.28.)

    하는 등 변화된 시대 요구에 맞는 이공계 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하는 중


 - 노동생산가능 인구의 감소, 고령화, 국제 경쟁의 심화 등 경제․사회적 여건의 변화는 창의적이고 경쟁력있는 이공계 인재의

    확보가 국가경쟁력 제고에 결정적 요소임을 인식하고 관련 개혁의 지속적 추진이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