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언택트(Untact) 시대 맞아‘태블릿PC’성장 전기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Strategy Analytic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10-30
  • 등록일 2020-11-20
  • 권호 179

태블릿PC 수요 폭발전년 동기대비 20% 이상의 성장률 기록


 ○ (SA) 20203분기 세계 태블릿PC 출하량은 5,060만 대로 전년 동기대비 33% 성장하며 7년 만에 가장 높은 분기 성장률을 기록(10.30)


  - 업체별로는 애플이 출하량 1,510만 대, 시장점유율 29.8%1위를 기록했으며 삼성전자는 출하량 940만 대, 시장점유율 18.6%2위 차지


  - 이어 화웨이(510만 대, 10.1%), 아마존(490만 대, 9.6%), 레노버(410만 대, 8.1%)


  - 특히 삼성전자가 금년 9월 출시한 갤럭시탭S7과 보급형 갤럭시A7(2020)이 글로벌 시장에서 흥행하며 성장률 상승폭(5.4%p)이 가장 큰 것으로 조사


2-1.PNG

 ○ (IDC) 20203분기 세계 태블릿PC 출하량은 4,760만 대로 전년 동기대비 24.9% 증가(10.29)


  - 업체별로는 애플이 출하량 1,390만 대, 시장점유율 29.2%로 부동의 1위를 차지했으며 삼성전자는 출하량 940만 대, 시장점유율 19.8%2위 기록

 

  - 이어 아마존(540만 대, 11.4%), 화웨이(490만 대, 8.6%), 레노버(410만 대, 8.6%)


  - 삼성전자는 금년 9월 출시한 갤럭시탭S7 시리즈와 30만 원대 보급형 태블릿 갤럭시탭A7(2020)을 출시하며 애플과의 점유율 격차 축소

 

  - 반면 애플은 아이패드 신제품 출시지연 영향으로 전년 동기대비 시장점유율이 1.9%p 줄어들며 소폭 하락


   ※ 애플은 금년 10아이패드에어 4세대아이패드 8세대등 태블릿PC를 잇따라 출시


2-2.PNG
 

시장규모 줄어들던 태블릿PC, 언택트 경제활동에 힘입어 시장 활기


 ○ 태블릿PC 시장은 화면이 큰 스마트폰이라는 애매한 포지셔닝 때문에 시장에서 외면받으며 2015년부터 매년 하락세 지속


   ※ 2010년 애플이 첫 태블릿PC인 아이패드를 출시하면서 혁신적인 제품이라는 평가가 나왔지만 스마트폰 대화면 추세와 맞물려 태블릿PC 인기는 시들


 ○ 하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언택트 문화가 확산하면서 대화면에 휴대성편의성을 갖춘 태블릿PC가 화상회의온라인수업화상면접재택근무 등 비대면 필수 기기로 재조명


  - 스마트폰보다 대화면이고 노트북보다 휴대성이 뛰어나다는 장점뿐 아니라 뛰어난 필기를 자랑하는 스마트펜, 탈착 가능한 키보드, 더욱 커진 베젤리스 화면 등이 강점


  - 특히 넷플릭스 등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수요가 확대된 가운데 노트북보다 저렴한 가격의 태블릿PC가 인기


  - 비즈니스 시장에서도 재택근무 확산, 업무 프로세스 전자화, 인증 간소화 등 다양한 영역에서 효율성을 제고하며 이용 증가


글로벌 IT기업, 제품 선보이며 태블릿PC 시장 공략 박차


 ○ 애플삼성전자화웨이 등 글로벌 IT기업은 저렴한 가격과 전작보다 개선된 성능의 새로운 태블릿PC를 공개하며 시장 주도권 확보 경쟁 전개


  - 아이패드 1세대 출시로 2010년부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애플은 금년 하반기 아이패드 프로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개선된 성능의 아이패드 에어 4세대, 아이패드 8세대를 출시하며 최근 급증한 태블릿 수요를 겨냥


  - 삼성전자는 갤럭시탭 A(보급형)S(프리미엄) 시리즈로 라인업을 다변화하고 갤럭시탭S7 시리즈와 갤럭시탭A7(2020)로 하반기 공략


  - 화웨이는 데이터 전송 기능과 M펜슬(M-Pencil) 기능을 향상한 메이트패드(MatePad) 10.8인치 모델 출시(8.13) 등으로 선도 기업 추격


  - 레노버는 넷플릭스 등 스트리밍 이용에 특화된 11.5인치 OLED 디스플레이, JBL 스피커 4개를 적용한 레노버탭 P11 프로를 출시


  - 반면 아마존은 태블릿 신제품 파이어 HD 8’을 공개(5.13)했지만 대규모 할인 이벤트 프라임데이 연기(710) 등이 매출 하락 요인으로 작용



2-3.PNG
2-4.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