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터프 기술 개념과 발전 방향 선정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벨퍼연구소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11-12
  • 등록일 2020-12-04
  • 권호 180

하버드대학교 벨퍼연구소(Belfer Center)는 터프 기술(Tough Tech) 개념 및 관련 국가 전략 방향을 제시*(’20.11.)

 

* Building a 21st-century American Economy : The Role of Tough Tech in Ensuring Shared, Sustainable Prosperity


터프기술(Tough Tech)은 대공항과 세계 대전 이후의 사회 문제 해결에 크게 기여해 옴


- 터프기술은 사회문제를 해결하는데 획기적 기회를 제공하는 기술로 큰 비용이 소모되지만, 보다 포용적이고 평등한 경제를 만드는 기반을 제공하는 기술임


- 19~20세기 동안 발전한 터프 기술로 제철, 전기, 반도체, 인터넷, 유전자 공학 기술 등이 해당



2-1.PNG

터프기술은 글로벌 이슈 및 미국의 국익에 부합하는 일자리 창출, 국방력 향상, 지속가능성 등 부문에서 큰 혜택을 제공


1) 경제 성장과 지속적 일자리 창출


- 터프기술을 통해 다양한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제조업과 공업 부문을 현대화하고 부활시킬 경우 향후 10년 동안 340만 개의 일자리를 제공하고 4,780억 달러의 연간 경제 성장 효과도 기대

 

2) 국방과 경쟁력 향상


- 미국은 ’60GDP 대비 R&D 지출이 2%였으나, 현재는 0.7%까지 하락

 

중국제조 2025와 함께 터프 기술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투자자로 나가고 있으며, 유럽 Horizon 2020 계획을 통해 1,000억 유로(132조원)을 투자할 계획

 

- 향후 핵심 제품에 대한 국내 생산을 늘리고 지역 공급망을 강화를 위한 터프기술개발 및 GE, 보잉과 같은 미국 기업의 경쟁력을 지원

  

3) 지속 가능성 제고


-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경제활동 전반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장기적 지속가능성의 혜택 제공


21세기를 맞아 글로벌 과제를 해결하고 사회 전반에 경제적 파급효과를 줄 수 있는 새로운 세대의 터프 기술이 등장

  

- 양자컴퓨팅, 청정에너지 생산분배, 우주 탐사통신, 첨단 제조일자리 제공 및 삶의 질을 제고함



2-2.PNG


터프 기술 발전을 위한 국가 발전 방향으로 인재, 자금, 조정, 규제4개 부문을 선정


- (인력) 전통적 산업 근로자에 훈련을 제공하고, 이민 제도를 개혁하며, 대학원생의 창업을 촉진하고, 인종 다양성 확대


- (자금) 창업 기업의 초기 자금 및 전례가 없는 기술 지원 제공, Manufacturing USA를 낙후 지역으로 확대하고, 새로운 방식의 대출 방식 제공


- (조정) 관리예산처, 총무청, 국가경제위원회에 조정 기능을 증대시키고, 공공-민간 자본 협력을 확대하며, 국립연구소를 터프 기술의 상업화에 활용


- (규제) 경제적 경쟁력 관리 기구를 확대하거나 신설하고, 연방기관이 상업화 시범 프로그램을 추진할 수 있도록 허용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