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5G,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위축된 세계 경제를 반등시킬 동력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IHS Marki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11-01
  • 등록일 2020-12-04
  • 권호 180

IHS Markit, 5G 투자가 경제 성장과 일자리 창출을 이끌 전망


시장조사기관 IHS Markit‘The 5G Economy in a Post-COVID-19 Era’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펜데믹 영향으로 사회경제적 변혁을 경험하면서 5G 중요성 증대


- 코로나19 위기 속에서 경제 시스템, 소셜네트워크서비스 등을 탄력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통신기술의 연결성유연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는 곧 5G 기술 투자를 촉진


- 아울러 코로나19 펜데믹 장기화로 각국 정부경제사회 전반에 걸쳐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이 급격히 이루어지며 5G 인프라네트워크 투자로 연결


20202035년간 세계 5G 투자&연구개발 규모가 2019년 전망치 대비 10.8% 상향 조정


5G 생태계 구축을 통해 203538,000억 달러의 경제 효과가 발생하고 일자리는 2,280만 개 창출 전망


- 코로나19 영향으로 위축된 경제 상황에도 불구하고 5G가 글로벌 산업 전반을 뒤흔들 혁신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았으며 5G 네트워크 인프라, 디바이스 등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으로 분석


- 5G 구축과 더불어 관련 제품 서비스 경험 지속성과 확산이 포스트 펜데믹 시대의 연결성유연성탄력성에 대한 새로운 요구를 충족하고 지원할 것으로 기대


3-1.PNG


2035년 중국미국일본한국독일영국프랑스 7개국이 5G 경제 효과와 고용창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84%88%로 압도적


- 특히 중국은 5G 경제 효과와 고용창출에서 각각 40.3%56.6% 비중을 차지하며 시장을 주도할 전망이며 미국일본은 23위 예상


- 우리나라는 5G 경제 효과 1,320억 달러(1457,500억 원), 고용창출 741,000명으로 4, 이어 독일프랑스영국 순


20202035년 동안 5G 총 투자(설비투자연구개발) 부문에서도 중국(17,000억 달러)은 미국(13,000억 달러)을 앞지를 것으로 관측


한편 5G 관련 글로벌 매출(5G enable Sales)203513980억 달러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별로는 제조 정보통신 도소매 공공서비스 건설 분야 순



3-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