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바이든 기후 정책 추진 전략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네이처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11-25
  • 등록일 2020-12-18
  • 권호 181

네이처는 바이든 당선인의 공약으로 발표한 기후 정책 추진전략을 전망*(’20.11.)


* Can Joe Biden make good on his revolutionary climate agenda?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추진할 기후정책을 4가지 방안으로 정리


1-1.PNG

1) 의회 법제 통과

  

 - COVID-19 이후 추진될 경기 부양법에 저탄소 에너지와 녹색사회 기반 시설에 대한 연방 투자 방안 포함

 

 - 주 정부별로 서로 다른 재생에너지 비중에 대한 규정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연방 수준의 통일된 법 제정이 산업계 지지가 가능

 

 - 기후 정책의 가장 큰 기회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탄소세를 만드는 방안으로, 현재 이산화탄소 1톤당 40달러의 세금으로 시작해 2035까지 탄소 배출을 절반으로 줄이는 세금 인상 방안 제시

  

2) 행정기관 활용

 

 - 내무부(DOI)는 해상 풍력 발전 단지와 다른 재생 에너지 기반 시설 건설에 대한 연방 허가 과정 가속화

  

 - 에너지부(DOE)는 각종 기기의 에너지 효율 표준을 높여 에너지 소비를 줄이도록 유도


 - 재무부(USDT)는 금융 규제기관과 협력해 상장기업이 기후변화 개정 리스크를 보고하도록 규제를 개발해 기업의 해당이슈에 대한 인식 제고


 - 연방기관간 기후 정책을 조율할 수 있는 국가기후위원회(National Climate Council) 설립

 

3) 환경보전청(EPA) 규제

 

 - 가장 강력하게 대응할 수 있는 권한으로 환경보전청(EPA)를 통해 온실가스 규제


 - 오바마 정부에서 시행하였던 자동차, 발전소, 석유 정제 시설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에 대한 강력한 규제를 복원시키고, 새로운 규제를 개발할 전망


 - 바이든 정부는 더욱 강력한 청정 발전계획을 제시할 전망이며, 바이든 정부 1기 전에 법안의 효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관건임

 

4) 국제협력

 

 - 정부가 출범하면 즉시 파리협약에 재가입하고 내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리는 파리협약 회의에서 새로운 기후 정책을 개발할 전망


  * ‘15년 맺어진 파리협약을 통해 2025년까지 최소 ’05년 배출량의 26%의 온실가스를 감축할 예정이었으나, 트럼프 정부에서 파리협약을 탈퇴

 

 - 다른 국가로부터 한번 잃은 신뢰를 다시 복구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로, 바이든 정부는 새롭게 제시하는 기후정책이 향후 차기 대통령 당선시에도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득하는 과제를 안고 있음


바이든 당선인은 중도주의자로 어떻게 정치 체제가 작동하는지를 이해하고 있으며, 상원에서 36년 동안 다양한 협상을 진행한 경험이 있다는 점에서 기후 정책을 잘 추진해 나갈 것으로 기대


 - 민주당과 공화당은 지구 온난화에 대해 서로 다른 해법을 가지고 있어, 분열된 의회와 공화당 반대가 이를 제한할 가능성 존재


바이든의 경력이 의회의 양당과 협력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며, 만일 어렵다해도 행정부만을 통해서 일부 정책을 추진할 수 있음

 

 - 내년 중국과 유럽연합 등이 참여하는 UN 기후 컨퍼런스가 내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바이든은 존 케리 전 국무부 장관을 기후변화 특사로 임명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