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대학 기초연구 현황 및 개선을 위한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
  • 주제분류 기초연구진흥
  • 원문발표일 2013-08-16
  • 등록일 2013-07-30
  • 권호 4

□ 과학기술정책연구소(NISTEP)에서는 ?정점조사(定点調査)*?에서 도출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일본 대학의 기초연구 강화방안을 논의


* ?제4기 과학기술기본계획(’11년~’15년)? 기간 중 일본의 과학기술과 혁신 추진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산?학?관 연구자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의식조사임. 동일 회답자에게 매년 같은 조사를 실시하여 의식추이를 분석하는 것이 특징


조사 결과, 젊은 연구자의 부족, 연구시간의 감소, 국제화에 대한 늦은 대응, 기반연구비 감소 등과 같은 일본 대학의 상황들이 지적되어 대학 기초연구 강화방안을 제시


최소한의 기반연구비를 확보하고 특정 분야에 강점을 지닌 대학을 발굴?육성


(예시) 연간 20~40만 엔의 연구비 내에서 국내 출장은 가능하지만 해외 학술대회 발표가 불가능하여 연구결과의 발표가 어렵고 이는 연구업적과 이어져 연구비 수주에 영향을 미침


젊은 연구자의 확보 및 고용안정 위해 프로젝트의 간접비와는 별도로 일정비율의 ‘간접인건비‘ 도입 등을 통해 사업이나 새로운 프로젝트 실시에 따라 연구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인력을 고용


일본의 경쟁자금이나 사업연구비에 간접비는 포함되어 있으나 인건비는 포함되어 있지 않는 등 직접적으로 인건비를 사용할 수 없음


연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연구팀 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인재의 확보·육성


연구책임자에게 연구테마 설정, 연구목표 설정, 커뮤니티 형성, 연구관리 등에 대한 교육 실시를 통한 연구 리더를 양성


단기(6개월~2년) 체류 해외 과학자 유치를 확대하고 젊은 연구자와의 네트워크 형성을 지원


당초 연구목표와 다른 연구결과 발생 시 이를 허용하는 연구평가 시스템 마련하고 논문 성과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충분한 연구기간을 확보


 

배너존